Q. 주식시장에서 보면 폭락 때는 언제나 피해 보는 건 개인투자자들이던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개인투자자들이 폭락장에서 피해를 입는 주된 이유는 정보 접근성과 분석 능력의 차이, 그리고 감정에 휘둘리는 투자 행태 때문입니다.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은 전문적인 분석팀과 방대한 자금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투자 전략을 세우지만, 개인투자자들은 제한된 정보와 경험으로 인해 주가 급등 시 추격 매수하거나 손실을 회피하려는 심리로 인해 손해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손실이 난 주식을 오래 보유하고 이익이 난 주식을 빨리 매도하는 경향도 투자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Q. 미국 주식은 하루에 몇 %까지 상승하거나 하락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주식 시장에서는 우리나라처럼 명확한 상한가나 하한가 제도는 없지만, 시장의 급격한 변동을 완화하기 위한 '서킷 브레이커와 '리밋 업-리밋 다운(Limit Up-Limit Down)'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S&P 500 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7%, 13%, 20% 하락할 경우 각각 15분간 거래를 중단하거나, 20% 하락 시에는 하루 종일 거래를 중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리밋 업-리밋 다운 제도는 개별 종목의 가격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여 급등락할 경우,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과도한 변동성을 방지합니다.
Q. 미국 우선 무역정책 추진으로 중국에 최대 245%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 미국은 희토류도 자국내에서 채굴, 생산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미국은 희토류의 채굴과 생산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 유일하게 운영 중인 희토류 광산은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패스 광산으로, MP Materials가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광산은 2024년에 약 45,000톤의 희토류 산화물을 생산하여 전 세계 생산량의 약 15%를 차지했습니다 . 그러나 대부분의 정제 및 가공 과정은 여전히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완전한 자급자족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이러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텍사스의 라운드 톱 프로젝트에서는 희토류의 채굴과 정제를 위한 시설을 개발 중이며, 최근에는 고순도의 디스프로슘 산화물을 자체 기술로 생산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 또한, MP Materials는 텍사스 포트워스에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 금속 및 자석 생산 시설을 건설하여 국내 공급망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Q. 주식할때 참고 해야 하는 경제 뉴스중에서 어느것이 정확한가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이 특정 국가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자국 산업 보호나 무역 불균형 시정을 위한 정책 도구로 사용됩니다. 245%라는 높은 관세율은 매우 이례적이지만, 특정 산업이나 제품에 대한 덤핑 방지나 보조금 상계 조치로 정당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범 내에서 허용되지만, 상대국의 반발이나 보복 조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이 이러한 관세를 통해 중국의 수출을 억제하고,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관세 정책이 미국 국채에 대한 중국의 투자 유인을 높이기 위한 전략의 일환일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