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기생충, 감염 관련 검사를 하려면 어디로 가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기생충도 기생충마다 좋아하는 부위가 달라서 어떤 기생충은 폐로 가고, 어떤 기생충은 장에서 살고, 간으로 가고, 피부 안에서 돌아다니고 각각 다릅니다. 보통 말하는 기생충약을 먹어서 치료하는 기생충은 회충인데 사실 요즘 거의 없습니다. 회충증의 경우 대변검사를 통해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어떤 기생충이 의심되는지 왜 기생충에 감염되었다고 생각하는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엑스레이 촬영후 의사판독 결과?
안녕하세요. 은대휘 의사입니다.1. 경계성심장비후 : 심장의 그림자에 엑스레이 영상에서 조금 커보이는데 이게 병 때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2. 후결핵성 반흔성 변화 의증, 좌중 야 : 우폐의 가운데 부분에 석회화가 보이는 것이 이전에 결핵을 않고 나서 생긴 흉터로 생각된다는 겁니다. 100%라는 건 아니고 1 결핵 2 암 3 기생충 이런 후보가 있다면 그 중에 결핵 때문일 가능성이 제일 높다. 이런 얘기입니다.엑스레이만으로 모든 것을 알 수는 없고 더 정밀한 검사가 필요한 지 알아보는 정도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보통은 이전에 찍은 엑스레이와 비교를 해보면서 변화가 있는지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따라서 이런 검사는 계속 같은 기관에서 받거나 다른 의료기관에 가는 경우 이전의 검사를 가져가서 같이 보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영상만으로 진단을 하는 것이 아니며 환자의 증상이 있는지도 봐야 하고, 필요하면 심초음파 검사, CT, 조직검사 등의 추가 검사를 해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이 부분은 인터넷에 물어봐서는 알 수 없고 환자를 직접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