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TV시청이나 게임 시간을 적절하게 제한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게임이나 영상은 아이들이 매우 좋아 하는 것들 입니다 너무 재미있다 보니 스스로 관리가 안되는 점이 있죠 그러기 때문에 아이와 함께 사용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게임이나 영상을 보지 않을 때에는 아이들이 심심하지 않게 보드게임 이나 가벼운 운동을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정기적인 운동을 하는 습관을 들이려면 어떻게 해야하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운동을 좋아 하지 않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체육 활동 보다 책읽기나 조용하게 노는 것이 정서적으로 맞는 아이도 있습니다 타고난 성향이기 때문에 잘 못된 행동은 아닙니다 하지만 성장기에 있어 활동도 매우 중요 합니다 부모님과 함께 가까운 곳에서 산책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될수 있어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잠자다 새벽 무렵에 별다른 이유없이 아기가 깨어난다면, 이때는 어떻게 하면 좋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기의 나이가 없어 어떤 경우인지 말하기가 쉽지 않네요 분유나 모유를 먹는 아기라면 새벽에 한번아니면 두번정도는깰수 있어요 배가 고파서 일수도 있고 기저귀가 불편해 일수도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혼자서 아이가 집을 볼 수 있을만한 시기는 언제부터 적절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9살 아이가 집에 보호자 없이 있는건 좀 무리 입니다 아이를 돌봐줄 사람을 찾던 아니면 돌봄에 맡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맞벌이 부부이니 돌볼 신청이 가능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학교에 문의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특정 일에만 지나치게 빠져서 다른 활동은 소홀히 할 때, 어떻게 균형을 잡아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좋아 하는 것이 생기면 같은 놀이만 반복하고 노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다른것에 관심이나 호기심이 생기면 지금 하고 있는 놀이와 멀어 질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말고 지켜 봐 주세요 지금 좋아 하는 걸 못하게 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으니 아이가 좋아 하는 걸 하게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독립적으로 놀이를 하지 않고 항상 어른의 주목을 받으려 할 때,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은 부모님과 함께 놀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님과 함께 놀이를 하면서 유대감을 높이기도하고 사회성을 배우기도 합니다 혼자 놀이를 하는 것도 좋지 못한 행동 입니다 성장을 하면 혼자 스스로 해야 할 시기가 오게 되니 초등 학교 되기 전에는 잘 놀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아이가 엄마에게 갑자기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우, 올바른 대응 방안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엄마가 아이의 불편함 점을 모두 해결 해 주다 보니 아이도 엄마가 없으면 불안해지고 기분도 좋지 못 합니다 엄마가 아닌 다른 가족 구성원도 아이의 불편함을 해결 해주는 것도 아이가 엄마에게 의존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수줍음이 많은 성격의 아이는 어떻게 하면 개선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타고난 성격을 바꾸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아이마다 타고난 유전적 성향이 있기 때문에 개선은 되지만 다른 성격으로 바뀌지는 않습니다 아이도 성격을 바꾸라고 하면 매우 큰 스트레스로 작용 합니다 내성적인 성격도 장점이 있으니 있는 그대로 아이를 봐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특정 상황에서 아이가 거짓말을 하는 경우, 어떤 접근법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가정에서 조금 딱딱한 분위기 이거나 부모님이 강직 하다면 혼이 나는 것이 두려워 거짓말을 하고 순간을 넘어 가고 싶어 하는 경우가 있어요 아이가 바른 말을 할수 있도록 아이에게 부드럽고 편하게 대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아이에 대한 이해나 공감이 있어야 아이도 부모를 신뢰하고 편하게 이야기 할수 있을 것 같아요 화부터 내지 마세요 무서움이나 두려움이 생겨 말을 하지 않습니다
놀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초등학생들이 공을 던지는 놀이를 할 때 정확하게 던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연습을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정확한 자세가 필요 합니다 자세가 바르지 못하면 던질 때 마다 다른 곳으로 공이 날아가기 때문에 바른 자세가 필요 합니다 그리고 많은 연습이 필요 합니다 연습을 하다 보면 자신이 무엇이 잘못되어 공이 정확히 날아가지않는지 알수 있어요
141
142
143
144
14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