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도통 눈을 맞추고 가만있질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에게 혼을 낸다면 훈육이 되지 않고 교육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은 성난 엄마에 목소리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고 심리적인 위축이 됩니다 그래서 엄마가 혼을 내면 눈을 마주치지 않고 딴곳을 바라보게됩니다 무섭기 때문 입니다 우선 아이가 목욕후 옷을 입지 않겠다고 하면 ㅇㅇ야 왜 옷입는 것이 싫어? 하고 관심을 보이고 아이의 마음을 알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알아야 아이에게 옷을 입힐 수 있고 아이의 불편함을 해소 할수 있습니다아이를 대할 때 화가난 목소리나 흥분한 상태는 좋지 못합니다 항상 평정심을 유지한 편안한 목소리로 아이를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아이가 책 읽기를 좋아하도록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일반적으로 보통에 아이들은 책읽는 것과 공부하는 것에 대해 부담감을 가지고 있으며 싫어 하는 경향이 많이 있습니다 반면에 놀이 하는 것을 좋아하고 관심 있어 합니다 어떻게 보면 공부나 책 읽기 보다 놀이에 집중해야 하는 것이 맞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운동을 잘하고 놀이를 잘 하는 아이보다 책을 많이 읽고 공부를 잘하는 아이를 원하고 있는 실정 입니다 싫어 하는 걸 좋아 하게 만드는 것도 어떻게 보면 아이에게 많은 부담을 줄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책을 읽지 않고 좋아 하지도 않는데 아이 보고 책 읽는 것을 좋아해 라고 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것 같아요 아이가 책을 잘 읽게 하고 싶으면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고 함께 책 읽는 모습을 보여 준다면 아이도 책읽는 것에 대해 관심을 가질수 있을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아이가 실패를 겪을 때에는 어떻게 대처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누구나 실패 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피하려고 합니다 성공 할때 보다 실패하게 되면 심리적으로 더 힘이 들기 때문이죠 아이에게 실패 해도 괜찮다고 마음의 부담을 덜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부담감이 없다면 편안한 마음으로 행동 할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성공 할수 있는 확률이 높아 질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아이가 목표를 달성하는 습관을 기르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타고난 재능이나 능력이 없다면 한가지 일을 계속해서 하는 건 쉽지 않습니다 아이에게 맞는 일을 찾고 있는 순간 이기도 합니다 그래도 무엇이라도 해 보려고 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보입니다 관심이나 호기심이 있다보면 아이가 좋아 하고 잘하는 것을 찾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와 많은 대화를 나누어 아이가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아는 것이 매우 중요 합니다 아이가 어떤 것을 좋아 하고 어떤 것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야 아이에게도 도움을 줄수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동생을 안챙기고 자꾸 친구들만 찾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9살 아이도 미성년자 아이고 보호 받아야 할 대상 입니다 9살 아이에게 6살 아이를 보살피라는 것은 올바른 행동이 아닙니다 9살 아이에게도 많은 부담이 되고 힘든 부분 입니다 당연히 보호자인 부모님이 챙기는 것이 맞습니다 아이의 행동이 잘 못된 것은 없어 보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피아노 연주할때 본인고집대로만 하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우선 아이가 고집이 있는 건 아니고 피아노는 전문 분야 이야 보니 엄마를 피아노 선생님으로 인정 하고 있는 건 아닌것 같아요 아이가 엄마의 실력에 대해 인정 하고 있지 않으니 엄마가 가르쳐 주는 것에 대해 틀리다 생각하고 배우고 싶지 않을 수 있어요 아이에게 엄마의 실력을 보여 주고 아이가 수긍하고 인정하게 만들어 주세요 그럼 아이가 엄마가 알려주는 데로 잘 따라 올것 같아요
놀이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친구에게 막 대하는데 어떻게 해야되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처음에는 잘 놀다가 마음에 들지 않는 다고 친구에게 막말을 한다고 하면 막말하는 아이는 상대방에 대해 친구가 아니라고 생각 하는 것 같아요 친구에게 막말을 하면 친구가 마음의 상처를 입는 것을 알고 있을 건데 마음에 들지 않는 다고 막말한다면 친구 관계가 아닌 아는 사람 정도로 생각 하는 것 같네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사춘기가 되는 아이들에대한 부모님들의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사춘기의 아이들을 대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이 듭니다 사춘기 아이들에게 부모님이 해줄수 있는 건 없다고 할만큼 어렵습니다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 하기 어렵기 때문이죠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들은 하루에도 몇 번식 기분이 좋았다 나빴다을 반복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부모님이 아이들 마음을 알아주는 자체가 어렵습니다 그냥 내 아이를 믿고 기대려 주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수 있습니다 아이를 쳐다 보는 모습이 불안해 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는 다는 표정으로 바라 보면 안되고 일상적으로 편하게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자기랑만 놀으라고 강요하는 친구가 있다면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요즘은 외동인 아이들이 많아 함께 나누는 것에 대해 익숙하지 않아요 혼자 이다 보니 아이를 중심으로 움직이다 보니 가정이 아닌 단체 생활을 하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도 같은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요 가정에서 단체 생활을 하는 유치원에서는 나를 중심으로 놀거나 움직이는 않는다고 이야기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8일 작성 됨
Q.
초3 아들이 점점 엄마한테 말대꾸하고 대듭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부모님이 하기 싫은 것을 시킬 때 말대꾸를 하거나 부모님을 무시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단호 하게 훈육을 하지 못하면 결국 아이가 엄마의 마음을 읽어 버려 날 어떻게 하지 못 한다는 것을 알고 함부로 대하는 경우가 있어요 우선 아이의 심리 상태를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아야 합니다 말대꾸를 많이 하는 아이는 논리적이 아이들이 많이 있습니다 엄마의 말이 부당하고 이해가 되지 않는다 생각 하기 때문에 항상 엄마에 말에 반감이 있어요 아이와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고 아이의 말에 공감을 하고 이해를 할줄 알아야 합니다 항상 흥분한 목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 좋아요 엄마가 흥분하게 되면 아이도 따라 흥분하는 경우가 있어 도저히 대화가 되지 않습니다 아이의 마음을 풀어 준다면 아이도 엄마에 대해 존중하는 마음이 생기고 아이와 잘 소통이 됩니다
166
167
168
169
1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