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친구들과 의견 충돌이 생기면 회피하는 아이, 갈등해결 능력을 키우려면?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회피 한다고 생각 할수 도 있지만 친구와 말다툼 하는 것이 불편하고 아이의 심정에도 맞지 않아 하고 싶지 않다고보여 집니다 우선 아이와 대화를 통해 아이가 어떤 마음으로 회피하고 싶어 하는지 아이의 마음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여 집니다 아이가 부당한 것에 대한 것이라면 아이의 의사를 표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꼭 해야 한다고 교육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말을 조리있게 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말을 잘하는 것은 타고난 재능도 있지만 많이 말하고 듣고 해서 잘하게 되는 경우도 있어요 내성적인 아이라면 자기 자신을 표현 하는 것에 대해 인색한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쉽지는 않습니다 상황에 따른 말하는 법을 알려 준다면 조금씩 좋아 질 수 있어요 하지만 몇 번 알려 준다고 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보니 시간을 가지고 반복 숙달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놀이
2024년 12월 10일 작성 됨
Q.
6살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놀이 또는 활동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 마다 성향이 있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내성적인 아이들은 혼자 조용히 장난감을 가지고 놀이를하는 아이들도 있고 색연필을 이용해서 미술 놀이를 좋아 하는 아이들도 있어요 일반적으로 놀이터에서 뛰어 다니면서 놀이를 하는 것을 가장 좋아 합니다 어린이집에 하원을 하고 나면 놀이터로 가서 조금 더 놀고 싶어 하는 아이를 많이 보게 됩니다 장난감도 좋고 미술 놀이도 좋지만 요 또래 아이들은 몸으로 뛰어 다니면서 놀이를 하는 것을 가장 좋아 하는 것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어린이집에 입소한 뒤, 아이가 자주 아프거나 감기에 걸릴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내게 되면 어린이집에도 규정이 있습니다 열이 38도가 넘어 가면 아이를 집으로 데려가 가정 보육을 해야 한다 거나 하는 규정이 있어요 우선 아이가 자주 아프지 않게 개인 위생에 신경을 쓰면 면연력을 올려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면연력이 낮은 아이들이 집에 있다가 어린이집 같은 단체 생활을 하는 곳을 가게 되면 적응 단계에서 아이가 아플 수도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도록 도와주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나이가 어린 아이들은 부모님에 대한 의지가 클 수 밖에 없어요 어린 아이들이 부모님과 함께 놀고 싶어 하는 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어요 어린 아이들은 부모님과 함께 놀이를 하면서 많은 것을 배우게 됩니다 아이들이 자라 큰 아이가 된다면 독립적으로 아이들만의 방법으로 놀이를 하게 됩니다 몇 살 인지는 몰라도 아이가 자라게 되면 당연히 부모님과 함께 놀이를 하지 않고 또래 친구들과 어울려 놀게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아이가 울 때 어떻게 달래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른 긴 합니다 아이가 잘못을 했는데 안아주고 달랜다면 아이가 한 잘못된행동에 대해 인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같은 행동을 반복 할 수 있어요 아이가 넘어지거나 다치거나 했을 때에는 아이가 아프지는 않았는지 상처 부위를 보고 치료를 해주거나 많이 아팠지 하고 아이의 마음을 잘 달래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2월 10일 작성 됨
Q.
집에서 아이와 함께 애완동물로 키우기 좋은 종류는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애완동물은 생명이다 보니 잘 생각하고 길러야 합니다 개나 고양이는 아이를 한 명 더 키우는 것 만큼 손이 많이 갑니다 비용 역시 많이 나옵니다 사료 값이나 병원비 예방 접종 등등 돈이 많이 듭니다 그리고 애완동물의 관리 주체가 누가 할 건지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전담 할 건지 부모님이 전담 할 건지 무척 중요 합니다 아이에게 도움이 되고 싶어 동물을 기르고 싶다면 우선 아이가 좋아 하는 동물을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애착이 있어야 동물은 행복하고 아이도 행복하기 때문이죠 일반적으로는 개나 고양이가 좋습니다 사람과 교감 하기도 좋고 정보도 많이 나와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남보다 내가 더 잘났다는 생각은 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그래서 교육이 필요 한 이유죠 아이들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기 때문에 배려나 양보 보다는 자신이 먼저 라고 생각 합니다 이러한 것을 교육 시켜 주지 못하면 이기적인 생각을 가지고 성장 하게 됩니다 아이들은 자라면서 공동체 생활을 해야 하는 것이 필연적 입니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도 가야 하고 나중에 학교에 가서 단체 생활도 해야 하죠 그래서 함께 잘 생활 하기 위해서 양보나 배려를 교육 받게 됩니다 아이도 양보나 배려를 해야 나중에 어려울 때 양보나 배려를 받을 수 있다고 알려 주면 될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아기가 3일째 배변을 안하고 있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빨리 병원에 가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생후 1개월이면 분유나 모유만 먹는데 배변을 못한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1개월 아이라면 하루 많게는 10정도 기저귀를 갈수도 있어요 3일 동안 기저귀를 한번도 갈지 않았다는 것을 이해 하기가 어렵습니다 빨리 병원에 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2월 6일 작성 됨
Q.
밤마다 자꾸 깨는 아이, 수면 패턴을 어떻게 개선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신생아는 밤에 대소변을 하여 기저귀가 불편 하다면 당연히 잠에서 깨고 배가 고파도 잠에서 깨어 울곤 합니다 정말 당연 합니다 처음에 아기를 키울 때 에는 잠자는 것을 포기 해야 합니다 엄마 아빠가 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아이가 자라나면 이런 문제가 없어 집니다 신생아의 수면 팬턴은 기저귀나 배가 고파 일어나 불편한 것이 해결 되면 다시 잠을 자는 이런 생활을 합니다 하루 16~18시간은 수면을 해야 하기에 어떤 이유로 아기가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면 보채는 일이 많아져 아기나 엄마 모두 힘이 들게 됩니다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