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앞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경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은행은 물가안정과 경기관리를 목적으로 금리를 결정합니다.물가는 유가상승, 환율상승으로 단기 하락보다 단계적인 하락으로 내년 상반기 이후 목표수준이 2프로대가 될 것입니다. 경기는 체감경기, 실물경기 침체상태로 잠재성장율인 2프로를 올해는 밑돌 것으로 전망됩니다.따라서 물가를 보면 내년 하반기 이후 금리 인하가 가능하겠으나 선거를 앞두고 경기부양의 정책적 필요성도 있으니, 내년 상반기 예고 후 금리인하 진행가능성도 있습니다.미국이 금리를 계속 올리거나 내리지 않는데 우리나라만 먼저 금리를 내리기 시작하면 부작용에 대한 비판이 거세질 수 있으니 대외변수에 대한 고려도 클 것입니다
Q. 유럽의 금리 인상은 왜 신경 쓰지 않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경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럽의 금리인상이 미국이나 일본, 중국 중앙은행 금리인상 보다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작다고 느끼는 것은 우리경제에 미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지 절대적으로는 이를 무시할 만하지는 않습니다.이유는 환율, 금리, 이자, 유가 등의 경제적 요인과 수출입, 투자 거래유형 측면에서 유럽은 우리나라에 경제적인 영향이 다른 경제권에 비해 작고 통화정책의 방향성에서 미국의 중앙은행과 같은 스탠스를 취하는 경우가 많지만 그 절대적인 투자 및 무역규모를 무시할 정도는 아니기 때문입니다.여전히 3~5위권의 대한 투자 및 교역국으로서 중요성이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