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흡연인구 증가가 국가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요~

흡연 관련 질병에 대한 의료비와 흡연자의 생산성 감소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어떻게 추정되고 계산되는지 알려주세요. 또한, 흡연으로 인한 조기 사망으로 인해 사회적인 비용이 발생하는지, 이에 대한 연구나 통계 자료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의료비 4조 764억 원, 교통비 870억 원, 간병비 4,559억 원 ** 의료이용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1조 1,115억 원,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성손실 6조 4,606억 원으로 질병관리청에서 추계했습니다

      추계라는 것은 단편을 보고 전체를 미루어 짐작한다는 뜻이라네요

      자료는 https://kiri.or.kr/PDF/weeklytrend/20220328/trend20220328_4.pdf

      입니다

      대법 판례에서는 흡연과 폐암의 직접적 관련을 찾을수 없다 크지않다라고 보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흡연은 백해무익합니다. 흡연으로인한 질병으로 건강관리비용이 점점 증가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제가 통계자료를 갖고 있지않아 경제이론에 근거하여답변드립니다.


      담배소비가 늘어나면 1차적으로는 재정수입이 늘어나는 단기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적으로 부담해야하는 손실이 이 보다 더 클것으로 판단됩니다. 담배를 많이 피면 국민건강이 악화되어 이에대한 건강보험료등 재정지출이 커지고 국민 개인적으로도 삶의 질이 크게 악화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흡연인구가 증가한다면 건강보험등의 보험료도 상당히 높아질 수 있고

      사회복지 비용도 많이 발생할 것이며 흡엽자의 생산성 감소로 인한

      연구결과를 확인한 결과, 비흡연자 대비하여 생산성 손실이 연 453만원 정도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의 '건강위험요인의 사회경제적 손실 추정 및 정책우선순위 기초 연구' 보고서에 따른다면 2021년도 기준으로 흡연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11조 4,206억원으로 추정을 하였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