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이광섭 전문가
토론토 동물병원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반려견이 가죽 소재를 보면 물어 뜯고 심지어 먹기까지 하는데, 어떻게 교정을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분리불안증상입니다. 혼자 있을 때의 무료함을 견디지 못하는 것이지요. 혼자서 물어뜯을 수 있는 장난감을 비치해두시고, 소파위에 커버를 씌워 못뜯게 해주시고 옷은 숨겨주세요. 평소 산책도 많이 시켜주시고 스트레스를 풀어주게끔 집에서도 재밌게 놀아주시면 차차 교정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가 식탐이 너무 심한 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하죠?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식탐은 강아지의 본능이니 이것을 교육으로 통제하다 보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만이 아니며 활동량이 좋고 식욕이 좋은 것은 건강하다는 뜻입니다. 급체방지 식기를 통해 식사 속도를 줄여보시고, 하루에 적은 횟수로 주고 계시다면 조금씩 여러번에 걸쳐서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 매년 맞아야하는 주사는 무엇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1년차에 접종했던 백신들 1년 주기로 부스팅 해주시면 됩니다. 광견병 백신도 1년주기로 맞춰주시면 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곰팡이 피부염때문에 항생제를 먹였는데 시무룩하네요.. 올래 그런가여??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가 항생제를 먹고 시무룩하고 잠만 자는 것은 항생제의 부작용일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감염된 균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약물이지만, 유익한 박테리아와 해로운 박테리아를 구분하지 못하고 모두 파괴하기 때문에 강아지의 장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장에 불균형이 생기면 설사나 구토, 변비와 같은 위장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식욕이 감소하고 무기력해질 수도 있습니다. 또한 항생제는 간에서 대사 되기 때문에 간이 피로하여 살짝 무기력해질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에게 유산균을 챙겨줘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챙겨줄 필요 없습니다. 영양제 및 보조제는 사실 대부분 상술입니다. 강아지 사료에는 완벽에 가깝게 영양학적으로 균형이 잘 맞춰져 있기 때문에 사료만 먹이셔도 괜찮습니다. 영양제를 주시기 보다는 주기적인 건강검진이 제일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토끼 눈은 왜 빨간색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토끼 눈이 빨간색인 이유는 토끼의 털 색과 관련이 있습니다. 흰색 털을 가진 토끼는 백색증이라고 하는 현상으로 멜라닌 색소가 합성되지 않거나 부족합니다. 멜라닌 색소는 눈의 홍채에 색깔을 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멜라닌 색소가 없으면 눈은 투명하게 되어 눈 속의 혈관이 그대로 보여서 눈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하지만 모든 토끼의 눈이 빨간색인 것은 아닙니다. 회색이나 갈색 털을 가진 토끼는 멜라닌 색소가 충분히 있어서 눈의 색깔이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나타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일본산 두꺼비는 알을 언제부터 낳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이 종은 태반 생식을 하는 독특한 두꺼비로, 암컷은 9개월 동안 자궁 속의 태아에게 지속적으로 영양을 공급하고 완전히 성장한 새끼 두꺼비를 출산합니다. 일본산 두꺼비는 계절에 따라 번식을 하며, 보통 우기에 짝짓기를 하고 건기에 휴면기를 보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종의 번식 주기와 환경 요인의 상관 관계는 아직 잘 연구되지 않았으므로, 정확한 시기를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가 주사를 맞을때 눈물 콧물 다 흘리고 그 정도가 심한건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저희집 강아지가 주사를 맞을 때 눈물 콧물이 심하게 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일 수 있습니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알레르기입니다. 강아지가 주사에 들어있는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면 눈물, 콧물, 피부 붉어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와 침대에서 같이자면 분리불안이 심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와 침대에서 같이 자면 분리불안이 심해진다는 주장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없습니다. 오히려 강아지와 침대에서 같이 자면 강아지와 주인 사이의 유대감이 강화되고, 강아지가 안정감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강아지와 침대에서 같이 자면 주인의 스트레스도 감소하고, 숙면을 취할 수 있다고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가 볼일보고 저한테 달려오는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칭찬을 받고 싶어서일 수 있습니다. 강아지는 배변 훈련을 받으면서 볼일을 잘 한 것에 대해 주인의 칭찬이나 보상을 받기 때문에, 볼일을 보고난 후에도 주인에게 칭찬을 기대하고 달려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강아지가 달려오면 칭찬해주거나 간식을 주는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해주면 좋습니다. 또, 놀아달라는 요청일 수 있습니다. 강아지는 볼일을 보고난 후에 기분이 좋고 활기차기 때문에, 주인과 놀고 싶어서 달려올 수 있습니다.
431432433434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