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분리불안이 아닌데 나갈 때마다 짖는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주 보호자인 어머니나 아버지께서 나갈 때는 짖지 않고, 나머지 가족들이 나갈 때만 유독 심하게 짖는다고 하셨습니다. 이것은 강아지가 주 보호자를 제외한 다른 가족들을 침입자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강아지는 본래 무리를 지어 영역 생활을 하기 때문에 자신의 영역에 침입해서 들어오는 외부자에게 심한 불안감과 경계심을 느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저희집 강아지의 짖음에는 저리가, 내 영역이야 등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그러다가 나머지 가족들이 완전히 집 밖으로 나가면, 저희집 강아지는 자신의 영역을 지켰다고 생각하고, 짖음을 멈추고 평온해집니다. 이것은 강아지가 자신의 행동이 성공적이었다고 인식하고, 보상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즉, 강아지는 자신이 짖었더니 침입자가 도망갔다고 학습하게 되는 것입니다.이런 경우에는 강아지에게 주도권을 되찾아주어야 합니다. 주도권이라는 것은 보호자와의 평상시 생활에서 빼앗기게 됩니다. 보통 자율급식, 무분별하고 의미없는 스킨쉽, 규칙없는 산책 등이 있습니다. 이런 행동과 습관이 쌓이다보면 자연스럽게 집안 주도권이 강아지에게 넘어가서 이제 강아지가 짖음으로 보호자와 집안을 지키려고 하게 됩니다.따라서 주도권을 되찾기 위해서는 간식과 사료를 원하는 만큼 주거나, 자유롭게 먹게 해주면 안됩니다. 간식과 사료는 보호자가 정해준 시간과 장소에서만 주시고, 몇 분 안에 먹을 수 있는 양을 초과하지 않게 해주세요. 간식과 사료를 받기 전에는 앉아, 기다려 등의 명령어를 시키고, 잘 따르면 칭찬하고 주세요. 스킨쉽도 자제해주시고, 산책도 강아지가 원하는 시간때 말고 규칙적이고 보호자의 통제로 인한 산책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Q. 시츄, 자꾸 발을 빨아서 염증이 생기는데, 방법이 있을까여?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소양감에 의한 증상이며, 대부분의 경우 알러지로 인한 소양감일 확률이 높습니다. 알러지로 인해 소양감이 발생하고, 해당 부위에 세균과 곰팡이의 2차 감염이 되어 발이 점점 더 붓고 피부가 발적되며 탈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빠른 시일 내에 병원에 가서 피부 검사를 통해 소양감의 원인을 찾고 그에 맞는 약물 치료를 진행해주셔야합니다. 가려움증 개선 약물, 2차 감염 약물(항생제, 항진균제), 면역 억제제 등의 알러지 치료를 받으시면 많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Q. 사회성이 좀 많이 부족한 우리 강아지..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가 다른 강아지에게 뛰어가서 짖고 도망오는 것은 공격적인 행동이 아니라 불안하고 겁이 많은 표현일 수 있습니다. 다른 강아지들이 저희 강아지쪽으로 왔다면,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 것일 수 있습니다.사회성을 기르는 가장 중요한 것은 강아지의 사회화 기간에 많은 경험을 시켜주는 것입니다. 강아지의 사회화 기간은 보통 3~16주 정도로, 이때 다양한 사람, 동물, 환경, 소리 등에 노출시켜주면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적응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간이 지나면 강아지는 새로운 자극에 대해 더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질 수 있으므로, 사회화 훈련을 계속 해주어야 합니다. 강아지 산책은 사회성을 기르는 과정 중에서 제일 쉽고 빠른 방법입니다. 산책을 하면서 다른 강아지나 사람들과 만나고, 다양한 장소나 냄새를 탐험하게 해주세요. 단, 산책 시에는 반드시 목줄을 장착하고, 강아지의 반응을 잘 관찰하며, 너무 많은 자극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꾸준히 노력해주시면 차차 사회성이 길러질 수 있습니다만, 강아지 성격상 사회화가 느린 경우도 있으니 너무 억지로 사회화를 시켜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Q. 반려동물을 입양하는데 책임비를.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책임비는 유기동물 구조자가 동물의 치료비, 예방접종비, 중성화수술비 등을 부담한 경우 그 비용을 일부 보상하기 위해 받는 것입니다. 또한 책임비를 받음으로써 입양자가 반려동물을 무책임하게 파양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과 애정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책임비를 받는 것이 항상 합법적인 것은 아닙니다. 동물판매업 등록을 하지 않은 유기동물 구조자가 유기동물을 대금을 지급받고 이전할 경우 매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는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