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회성이 좀 많이 부족한 우리 강아지..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가 다른 강아지에게 뛰어가서 짖고 도망오는 것은 공격적인 행동이 아니라 불안하고 겁이 많은 표현일 수 있습니다. 다른 강아지들이 저희 강아지쪽으로 왔다면,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 것일 수 있습니다.사회성을 기르는 가장 중요한 것은 강아지의 사회화 기간에 많은 경험을 시켜주는 것입니다. 강아지의 사회화 기간은 보통 3~16주 정도로, 이때 다양한 사람, 동물, 환경, 소리 등에 노출시켜주면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고 적응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기간이 지나면 강아지는 새로운 자극에 대해 더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질 수 있으므로, 사회화 훈련을 계속 해주어야 합니다. 강아지 산책은 사회성을 기르는 과정 중에서 제일 쉽고 빠른 방법입니다. 산책을 하면서 다른 강아지나 사람들과 만나고, 다양한 장소나 냄새를 탐험하게 해주세요. 단, 산책 시에는 반드시 목줄을 장착하고, 강아지의 반응을 잘 관찰하며, 너무 많은 자극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꾸준히 노력해주시면 차차 사회성이 길러질 수 있습니다만, 강아지 성격상 사회화가 느린 경우도 있으니 너무 억지로 사회화를 시켜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Q. 반려동물을 입양하는데 책임비를.내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책임비는 유기동물 구조자가 동물의 치료비, 예방접종비, 중성화수술비 등을 부담한 경우 그 비용을 일부 보상하기 위해 받는 것입니다. 또한 책임비를 받음으로써 입양자가 반려동물을 무책임하게 파양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과 애정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책임비를 받는 것이 항상 합법적인 것은 아닙니다. 동물판매업 등록을 하지 않은 유기동물 구조자가 유기동물을 대금을 지급받고 이전할 경우 매매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는 불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