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배드민턴 칠때에 무릎 보호대 하는게 효과 있나요?
안녕하세요. 명확한 근거가 있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 좀 더 무리가 덜 갈 것으로 보입니다. 배드민턴, 테니스 등 무릎이나 발목이 순간적으로 무리가 가는 운동 들은 인대나 근육 손상이 자주 오고 재발을 잘 하기 때문에 보호대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정신과약 금단 현상으로 취침전 약을 7시30분으로 당겨먹으면 괜찮으면 그리하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복용 시간이 당겨질 수 있어서 가능하면 원래 시간을 지키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속적으로 당겨지는 경우, 진료 시에 약제를 하루 3번 등 증량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림프종 질환의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보통 림프종은 말 그대로 임파선 부종이 먼저 발생하게 되며 이와 함께 임파선은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장소이기 때문에 이유 없이 발열, 오한이느껴지고 열이 떨어진 이후에는 식은 땀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이와 함께 체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임파선 종양을 의심하게 됩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편도가 계속 부으면 병원을가 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네 만성 편도염이나 편도 결석으로 인해 반복되는 경우, 항생제를 같이 복용하는 것이 좋으며 따뜻한 물을 드시는 것이 도움이 되며 흡연이나 음주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뇨의학과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방광염 증상도 있는 거 같고 소변이 자꾸 잔뇨가 있어요
안녕하세요. 네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치료를 받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성에서 방광염은 흔하게 나타나지만 방광 기능이 떨어질 때 더 자주 나타나며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할 수 있어서 내과 혹은 비뇨기과 진료와 함께 항생제를 드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비뇨의학과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질염 때문에 산부인과 다녀왔는데요 소변검사 했는데 뭐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그렇게까지 세세하게 나오지는 않아서 보통 세균 여부나 혈뇨, 단백뇨, 포도당 등 소변 내에서 염증이 관찰되는 지 여부만 확인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얼마전부터 귀에서 웅 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명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명의 원인은 다양하여 고혈압, 당뇨, 수면 부족, 수분 부족 등 다양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 이온 음료나 수액 치료를 할 수 있으며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같이 사용하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배가 불려서 화장실에 가도 시원하게 볼일을 볼수 없는데 어떤 문제 인가요?
안녕하세요. 뒷묵직의 경우, 치질이나 장 운동이 떨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지만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 대장 내시경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고탄수화물이나 고단백식이는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며 수분이 충분한 음식을 드시고 식사 후에는 30 분 정도 걷는 것이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비뇨의학과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사구체여과율수치좀 봐주세요 두가지버젼
안녕하세요. 만성 신부전은 사구체 여과율로만 진단하는 것은 아니어서 Creatinine 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Creatinine 수치가 정상인 경우, 만성 신부전으로 진단하기는 어려우며 이 역시 Creatinine 수치가 높은 상태로 6개월 이상 지속할 때 만성 신부전을 의심하게 됩니다.
내과
2024년 3월 28일 작성 됨
Q.
혈압 낮추는 방법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체중 감소와 유산소 운동은 혈압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음주는 알코올로 인한 염증 반응으로 인해 혈압의 증가를 보이며 흡연은 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혈압의 증가를 보이게 되어 금주, 금연이 필요합니다. 1 kg 의 체중 감소마다 1 mmHg 정도의 체중이 감소하게 되어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10 kg 정도 체중을 줄이면 10 mmHg 정도 혈압의 감소를 보일 수 있지만 반드시 맞는 것은 아니며 체중이 적은 분은 혈압 감소 효과가 높지는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106
107
108
109
1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