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역류성 식도염 증상 중에 이런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역류성 식도염이 심하고 위산 역류가 심해 수시로 올라오는 경우에는 위산이 기도로 흘러가면서 숨이 찰 수 있지만 그 정도의 역류성 식도염은 흔하지는 않아 연관성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하루날 디정과 쏜리서치 sat를 같이 복용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쏜리서치 영양제는 약제는 아니기 때문에 다른 약제와 같이 생각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전립선에 복용 중인 하루날 D 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으며 저녁 식후 혹은 자기 전에 복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방구를 꼈는데 피덩어리가 나왔어요. 치질인건가요?
안녕하세요. 네 현재의 나이에서는 치질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항문 주변에서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시적인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내과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배가 계속 빵빵합니다.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음식량이 적고 알코올에 의존한 경우, 알콜성 위염과 알콜성 간염으로 인해 위액과 소화액의 분비가 비정상적으로 감소하며 이로 인해 음식이 소화되지 못하고 정체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배가 빵빵하고 가스가 차며 소화가 되지 않는 느낌을 받게 되어 이런 경우, 소화제를 같이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구내염과 수족구병의 차이점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구내염의 원인균은 많은 반면에 수족구의 원인은 장바이러스의 일종인 콕사키 바이러스 A16이나 엔테로바이러스 71에 감염되어 생기는 전신 감염성 질환을 의미하게 됩니다. 주로 응가를 한 후 손으로 입을 만지는 경우에 손을 통해 전파가 될 수 있으며 양치질을 확실하게 하지 못하는 소아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우유를 먹으면 설사를 많이합니다
안녕하세요.락토오스 즉 유당 불내성을 의미하게 되는데 유당 불내증은 우유를 먹고 난 뒤에 설사하거나 묽은 변을 보는것을 의미하며 배가 더부룩하고 빵빵한 느낌이 들고 가스가 차면서 냄새가 나쁜 방귀를 뀌기도 합니다.유당불내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우유를 마시고 난 뒤에 나타나는 증상을 우선 확인해야 해요. 유당을 섭취하고난 다음에 혈액검사로 몸의 상태를 확인하고, 유당이 소화되지 않으면 만들어지는 가스를 확인하는 수소 호흡검사를통해 확인이 가능하며 어린아이는 대변을 검사해서 확인하기도 합니다. 아직까지는 치료제가 있지는 않아 증상이심한 경우, 우유를 줄이도록 권고하게 됩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갑상성검사 T3수치 낮으면??
안녕하세요. 감상선 검사는 T3, Free T4, TSH 검사를 동시에 하게 되는데 이때 T4, TSH 검사가 가장 중요합니다. T3는 당일의 컨디션이나 검사 시간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되어서 T3 단독으로 떨어진 경우에는 질병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게 됩니다.
내과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대장내시경 가소콜없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가소콜은 위 내시경 전에 복용하는 약으로 위 내에 가스를 제거하는 목적으로 먹게 됩니다. 그런데 이를 하루 전날 드시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검사 당일 아침에 먹은 후 위 내시경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알레르기 일까요? 피부병? 아님 다른 질환과 연관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사람들은 알레르기를 완치 시키고자 노력하고 약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것을 싫어하지만 이는 고혈압, 당뇨와 같은 질병에 속합니다. 완치가 어려우며 비싼 치료를 하다고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하루 한번 항 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 만으로도 증상을 줄일 수 있으며 증상이 있을 때에만 복용하게 되면 점차 심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탈모약의 부작용 중 하나인 여유증의 경우 어떻게 치료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탈모약은 다른 기전으로 남성 호르몬 억제제에 해당됩니다. 이로 인해 탈모약을 드시는 경우, 성기능 약화와 소변 기능 약화 등 남성 성에 대한 기능 저하를 보이며 남자 역시 적은 양의 여성 호르몬이 존재하기 때문에 남성 호르몬이 억제되는 경우, 여성형 유방을 보이기도 합니다.
286
287
288
289
2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