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페인트가 몸 안에 쌓이면 배출이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그런 것 보다는 페인트 등 유성 성분은 폐로 흡인되는 경우, 자연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폐 내에 쌓일 수 있어 이로 인해 폐렴이나 폐섬유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마스크 착용이 필요한 이유이기 도 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뒷통수머리에 뾰루지가 났습니다
안녕하세요. 피지샘은 얼굴에만 있는 것은 아니며 몸 전반에 존재하고 특히 두피에도 다량 존재합니다. 머리를 감을 때 보이는 부분은 잘 닦는 대신 뒷 머리는 소홀할 수 있으며 특히 잘 때 뒤가 눌리고 피지샘이 막히면서 모낭염이나 여드름이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당뇨가 생기면 완치가 안된다는데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네 당뇨는 선천적 혹은 후천적으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인슐린 수용체가 풍부한 근육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지방이 많아질 때 발생하게 됩니다. 문제는 아직까지는 당뇨를 사라지게 할 수 있는 약제가 없으며 이 보다는 인슐린 분비를 늘리거나 인슐린 수용체 기능을 강화 시키는 약제를 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통풍이 생기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통풍은 요산 과다로 인해 관절이나 혈관에 요산에 축적되면서 발생하는 결절에 의한 통증을 의미하게 됩니다. 주로 술과 퓨린이 풍부한 단백질을 섭취할 때 이것이 대사를 통해 요산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요산을 빠르게 소변으로 배출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서 통풍성 관절염을 느끼며 관절이 깍이는 듯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오른손이 움직이는게 느려졌는데요
안녕하세요. 신경과 혹은 신경외과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뇌졸증 혹은 뇌출혈의 위험 증상일 수 있어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응급실을 통해 Brain CT 등의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흑사병은 어떤 전염병인지와 예방법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흑사병은 주로 Yersinia pestis 로 인한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중세기 페니실린 등의 항생제가 없던 경우, 쥐를 통해 식수로 감염이 되어서 패혈증을 유발하는 주 원인이 되었습니다.지금은 치료제가 있어서 제때에 치료하는 경우, 폐렴과 같은 치명률을 보일 정도로 위험한 질병 으로 인식하지는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정형외과
정형외과 이미지
Q.  통픙이 생기는 이유랑 좋아지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통풍은 요산이라는 물질이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쌓이면서 주로 관절이나 혈관에 침착하면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을 통풍이라고 합니다. 요산은 주로 단백질을 섭취할 때 이 대사 물질인 Uric acid 로 인해 결정체가 형성되게 되는데 특히 술을 자주 마시고 등푸른 생선 등 요산이 많은 음식을 드실 때 더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 이미지
Q.  편도염 증상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네 편도선염의 증상일 수 있으며 혹은 인후염과 비염에 의한 후비루 증상으로도 기침을 할 수 있습니다. 감기는 한 가지 종류는 아니며 인후염, 비염, 기관지염, 편도염, 후두염 등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며 또한 2,3가지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폐에 물이 차는 증상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폐에 물이 찬다는 것은 실제로 물이 차오르는 것이 아니라 소변이 나가지 못하는 경우, 체내에 쌓이게 되는데 가장 좋은 공간이 흉강과 복강이 됩니다. 따라서 흉수와 복수가 찰 수 있으며 폐와 흉막 사이 공간에 혈장이나 소변과 같은 액체가 쌓이게 되어 이를 물이 찬다고 하며 강제로 흉관을 넣어 빼 내기도 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체중감량 후 콜레스테롤이 증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콜레스테롤이 반드시 비만과 관련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체중을 감량하였다고 당연히 수치도 정상이 될 것이라는 것도 모두 맞지는 않습니다. 급격한 체중 감량은 체내에서도 경고로 받아드리기 때문에 지방이나 단백질을 지키려고 하며 이로 인해 LDL, HDL cholesterol 이 동시에 증가할 수 있으며 수치의 증가를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여전히 과체중인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현재 반드시 약을 복용할 필요는 없다고 해도 지속적으로 높은 경우, 약물 치료를 같이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812822832842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