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꽉끼는 청바지를 입으면소음순이 불편합니다. 축소수술을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꽉 끼는 바지로 인해 수술을 하지는 않을 것 으로 보이며 이보다는 바지를 조금 헐렁하게 입는 것이 더 당일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뒷목이랑 어깨가 자주 뭉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유산소 운동 등 운동이 부족하거나 혹은 무리하게 무거운 것을 드는 등의 운동으로 인해 목에 부담이 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는 것을 변경하는 것으로 호전되는 것은 아니어서 근 이완제를 드시고 수영 등이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형외과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오래자고 나면 허리가 아픈데 정상인가요??
안녕하세요. 헬스 등의 무게 운동을 매일 혹은 2 일에 한번 하는 경우에 척추에 부담이 지속적으로 되는 것이 사실이며 측만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운동을 더 하는 것이 아니며 운동을 쉬고 걷기, 수영 등의 허리를 보호하는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27일 작성 됨
Q.
홈메이드 요거트 몸에 효과 있나요?
안녕하세요. 발효 식품 자체는 몸에 이로운 유산균도 들어가고 해로운 균도 들어가지만 대부분의 경우, 체내 면역력으로 인해 커버 할 수 있으며 아무런 효능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변비가 완화되는 분들도 있으며 식사 대용으로는 좋은 음식일 수 있습니다.
정형외과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치루 수술 후 운동은 언제 쯤 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치루 수술 후 걷는 운동은 48시간 이후부터는 해도 될 것으로 보이지만 헬스는 무게 운동으로 항문이나 엉덩이 주변에 힘을 과도하게 줄 가능성이 높아서 3주에서 한 달이 지난 후부터 운동을 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아기가 손톱뿌리까지 다쳤는데 안나을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손톱이 나지 않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완전히 손가락을 다치고 신경과 뼈까지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톱이 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단순히 뿌리를 다쳤다고 손톱이 나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어서 소독을 하고 자연스럽게 다친 손톱이 빠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술을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과 가끔 폭음하는것 중 더 나쁜것?
안녕하세요. 폭음이 가장 좋지 않지만 매일 음주를 하는 것도 좋지는 않습니다. 둘 다 좋지 않은데 그나마 덜 나쁜 습관을 찾는 다면 조금씩 마시는 것이며 가장 좋은 것은 금주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폭음은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알코올이 들어가게 되고 간에서 제거할 수 있는 알코올 농도를 넘어서게 되면 급성 알코올 증상이나 급성 간염이 위험성도 늘어나게 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공황장애 후유증인데 웨이트운동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네 당연히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황 장애의 문제는 사람들을 피하면서 운동량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햇빛을 자주 접촉하지 못하면서 우울 증상을 경험하고 비타민 D 등의 부족을 겪게 되면서 골다공증이 조기에 발생할 위험도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더운 시간을 피해서 햇빛이 있는 시간에 운동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헤르페스는 치료가 불가능한 질환인가요?
안녕하세요. 헤르페스는 신경에 잠복하고 있는 특징이 있는데 문제는 아직까지 항바이러스제가 신경에 잠복하고 있는 바이러스 까지는 도달해서 치료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서 치료 후에도 재발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26일 작성 됨
Q.
암수술후 5년째가 지나도 계속 검사를 받아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일 년에 한번인 경우에는 해당 병원에서 받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병원을 처음부터 옮긴 경우에는 지방 병원에서도 관리하기가 수월하지만 치료가 다 끝난 후에 1년 간격으로 가는 경우라면 지방 병원에서도 최초 검사를 잘 모르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병원이 멀다고 해도 자주 가는 것이 아니어서 원래 병원을 유지하는 것이 관리도 편할 수 있습니다.
281
282
283
284
2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