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음식을 먹다가 삼켜서 목에 걸렸을때 치료를 어떻게 하나여?
안녕하세요. 실제로 목에 걸린 것이 맞는 경우, 위 내시경 검사를 통해 목과 식도 안쪽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문어가 걸려서 넘어가지 않는 경우, 내시경을 통해 제거를 할 수 있으며 그러나 증상은 기능성 소화 불량 일 가능성이 높아 소화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지금 상황에 물집 자주 터트리면 안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생각보다는 냉동 치료 후 흉터가 크게 잡히는 것으로 보이며 반복적으로 터뜨리는 것은 흉터가 남고 감염의 위험성이 높지만 현재로써는 터뜨린 후 항생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왼쪽 가슴에 통증과 찌릿함이 3~10초 정도 오고, 뒤쪽 어깨 부분도 찌릿함이 느껴지는데 어떻게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심장의 문제로 보기에는 증상이 비 특이적이며 대부분의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가슴 답답함이나 연골염증으로 인한 가슴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무리를 해서 일을 한 경우나 감기에 걸린 후 기침을 오랜 동안 했을 때 가슴 결림을 자주 느낄 수 있습니다.
안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나이를 먹을수록 눈이 침침해지는데 방법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책을 본다고 시력이 꼭 좋아지는 것은 아니며 비타민 A 등의 눈 영양제를 같이 복용하고 가까운 사물만 보는 것 보다는 중간 중간 먼 곳으로 시야를 고정하는 것도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시력 테스트를 통해 필요한 경우,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 안전 합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고환 뾰루지같은거이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고환 등 성기 주변에도 피지 낭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여드름이나 모낭염이 발생한 후 치료 되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에 지금과 같이 뾰루지의 형태로 남을 수 있어 지속되는 경우, 항생제를 같이 복용하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눈 보톡스 후 피부마사지 언제부터 받아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보톡스 시술 후 피부에 안착하기 까지 일주일 정도의 시간을 보기 때문에 마사지 등은 일주일 후 부터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시술 후 바로 마사지를 받는 다고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몸에 물집이 잘 잡히네요 살이 약한걸까요? 다른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습진과 같이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수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도 나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산부인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자궁근종은 왜 생기는지 궁금하고, 완치가 가능한 질환인가요?
안녕하세요. 자궁근종은 여성호르몬과 관련이 있으며 자궁근종의 성장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성장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자궁근종은 대부분 가임 연령 동안에 생겨서 임신기간에 커지고 폐경 이후에 작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내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무슨 증상인가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안녕하세요. 심장 보다는 가슴이 답답하다는 것이 맞을 것으로 보이며 우울이나 불안감에 의한 증상일 가능성이 높지만 기관지 천식이 있을 때에도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어 지속되는 경우 흉부 방사선 검사와 함께 폐기능 검사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8일 작성 됨
Q.
설암 증상일까요? 사진 첨부합니다-
안녕하세요. 설암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통증을 느끼는 경우에는 단순 설염으로 보이지만 통증이 없는 경우, 혀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돌기일 수 있습니다.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 조직 검사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296
297
298
299
3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