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4년 11월 27일 작성 됨
Q.
한쪽 코가 비대칭이여서 코가 숨을 쉬기가 어려운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가장 좋은 것은 자기 전에 슈도에페드린 같은 비염 약이나 리너벤트 스프레이 등 코막힘을 줄이는 약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민트향이 있는 캔디 등도 도움이 되며 코의 막힌 부분을 자기 전에 마사지 해주는 것도 도움 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목감기에 걸렸는데 술 마셔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음주는 주로 감기를 악화 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음주를 하는 경우, 체내 알코올 대사 물질이 쌓이면서 염증 반응을 유발하며 혈관 확장을 하면서 백혈구가 염증이 있는 곳에 더 전달이 잘 되어서 감기를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
내과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아무 이유없이 갑자기 빈혈이 정상으로
안녕하세요. 스트레스로 인해 생리 불순이 오거나 생리양이 주는 경우, 오히려 이로 인해 출혈이 적어지게 되어 체내에 있는 철분이 빠져 나가는 정도가 줄게 되고 이로 인해 빈혈은 반대로 좋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성 빈혈은 대부분 생리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사량 보다도 생리양이 많을 때 주로 빈혈이 발생하게 되어서 다른 질병이 발생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레이저제모 시술 시 통증이 심한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보통 레이저 등 제모를 할 때 피부에 국소 마취 크림을 발라주게 되며 제모 이후에 피부에 일시적인 발진과 함께 부종으로 인한 통증이 올 수 있어서 냉 찜질과 함께 소염 진통제를 같이 복용하기도 합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귀에서 이명이 들리는 이유는 목디스크와도 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크게 관련이 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명은 주로 고혈압, 맵고 짠 음식, 스트레스 등과 관련이 있으며 디스크로 인해 스트레스가 많거나 목 디스크가 심하여 신경이 눌려서 거동이 어려울 정도로 신경 손상이 가는 경우, 이명이 같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 경우 역시 드물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밥솥에 밥을 지어 며칠 동안 보온된 밥솥에 넣은 밥을 먹고 소화 잘하고 특별히 문제없으면 괜찮죠?
안녕하세요. 대개 보온 밥솥에 있다고 해도 5일 이상 지나면서 색이 변하고 맛이 변하게 되어서 5일 이내에는 밥을 다 먹는 것이 좋으며 보통은 48시간 이내에 밥솥에 있는 밥을 다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별히 문제가 있기 보다는 밥솥에 있다고 해도 수분과 증기가 많아 밥이 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비염 + 코감기 등 재채기 관련해서 귀에서 소리나는 문제
안녕하세요.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이비인후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으며 비염이 있을 때 중이염이 동반될 수 있다고 되어 있어서 비염에 대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무리하게 코를 푸는 경우, 고막을 자극하기 때문에 코를 억지로 푸는 것은 좋지 않으며 이어폰은 귀에 좋지는 않아 증상이 있을 때 이어폰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이소티논 복용 중인데 탈모가 심해지고 있어요. 도움 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소티논은 장기 복용 시에 드물게 탈모가 발생할 수 있다고 되어 있지만 연관성이 있는 지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탈모가 있는 경우, 이소티논은 일단 종료하고 콩, 두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주로 먹는 것이 탈모에 도움이 됩니다.
내과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아침을 먹을 때 가끔 속이 너무 아픕니다.
안녕하세요. 증상은 있는데 검사에서 이상을 보이지 않을 때 기능성 위장 장애스트레스성 위경련이라고 하며 이는 정신적 혹은 육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맵고 짠 음식은 피하고 이는 아예 완치가 되는 것은 아니어서 증상이 심할 때에는 약을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과체중과도 관련이 있어서 조깅 등의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중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2일 작성 됨
Q.
잘 움직이고 평소랑 컨디션 비슷한데 더 지켜볼 부분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특별하게 아기가 울거나 손목을 만졌을 때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면 더 이상 불안해 할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아기들도 인대를 다치거나 뼈를 다친다면 본능적으로 아파하고 울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 손목에 손상이 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46
47
48
49
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