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의 경제는 이제 제로 금리의 시대가 완전히 사라졌다고 봐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의 제로 금리 시대가 다시 찾아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지만, 완전히 불가능하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몇 가지 요소를 고려해보면,팬데믹 직후처럼 경제가 심각하게 위축되거나 금융 시스템에 대규모 충격이 발생한다면, 미국 연준(Fed)은 다시 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습니다.하지만 현재는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어 금리를 제로 수준으로 내리기에는 부담이 큽니다.미국 연준은 현재 인플레이션 억제를 우선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금리를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유지하려는 기조를 보이고 있습니다.인플레이션이 안정되더라도 제로 금리까지 내리기보다는 적정 금리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과거 제로 금리 시절은 경제 위기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의 정책이었고, 이제는 경제가 어느 정도 회복되었으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큰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금리를 높게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책 방향일 수 있습니다.
Q. 베이시스 리스크란 어떤 위험을 말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베이시스 리스크(Basis Risk)는 파생상품 시장에서 선물 가격과 기초 자산의 현물 가격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을 의미합니다.구체적으로, 선물 계약을 사용하여 현물 자산을 헤지할 때, 선물 가격과 현물 가격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그 차이로 인해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농부가 곡물 가격 하락에 대비해 곡물 선물을 매도했지만, 실제로 수확 시점에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 간의 차이가 생길 경우 예상보다 손실을 보거나 이익을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이 차이가 바로 베이시스 리스크입니다.
주식·가상화폐
Q. 주식상장폐지 조건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상장된 주식이 상장폐지되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주로 재무 상태, 경영 상황, 규정 위반 등에 따른 것입니다. 주요 상장폐지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회사의 자본이 완전히 잠식될 경우(자본잠식률 50% 이상이 지속되거나, 자본잠식이 발생한 해로부터 2년 이내 개선되지 않을 경우).4년 연속 영업손실을 기록할 경우 상장폐지 심사 대상이 됩니다.외부 감사인의 감사보고서에서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의견"을 받는 경우.거래소에서 정한 일정 기간 동안 주식의 거래량이 매우 저조하거나 일정 기준 이하의 주가가 지속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