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isa계좌도 위탁계좌라고 봐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ISA 계좌는 위탁계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위탁계좌는 증권사에서 주식이나 채권 등 유가증권을 거래할 수 있는 계좌를 말합니다.반면,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예금, 적금, 펀드, ETF, 주식 등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계좌입니다.ISA 계좌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하나는 예·적금을 중심으로 한 '신탁형', 다른 하나는 펀드나 주식 투자 등을 할 수 있는 '중개형'입니다.특히, 중개형 ISA는 주식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식 위탁계좌와 비슷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ISA는 세제 혜택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Q. 코인과 관련해서요. TGE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TGE는 "Token Generation Event"의 약자로, 주로 블록체인 프로젝트에서 토큰을 최초로 발행하는 행사를 의미합니다.TGE는 ICO(Initial Coin Offering)와 비슷하지만, ICO는 주로 자금을 모으는 데 집중하는 반면, TGE는 토큰 발행에 중점을 둡니다.TGE에서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팀이 스마트 계약을 통해 토큰을 생성하고, 이를 투자자나 사용자에게 분배합니다.이 과정은 종종 프로젝트의 이정표로 간주되며, 이후 토큰은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될 수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Q. 코인거래소는 왜 여러곳 인가요? 또 같은 코인인데도 거래소마다 가격이 다른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코인 거래소가 여러 곳인 이유는 각 거래소가 다른 규제 환경, 서비스, 수수료 구조, 그리고 제공하는 거래 기능 등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이러한 경쟁은 다양한 투자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거래소는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거나 특정 코인의 거래를 더 지원하는 반면, 다른 거래소는 보안, 거래량, 사용자 경험 등을 강화하여 경쟁력을 높입니다.같은 코인인데도 거래소마다 가격이 다른 이유는 수요와 공급의 차이, 거래소 간 유동성의 차이, 그리고 거래소의 수수료 정책 때문입니다.각 거래소마다 사용자가 다르고, 거래되는 코인의 양도 다르기 때문에 수요와 공급에 따른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또한 거래소마다 유동성이 충분하지 않으면 가격이 더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주식·가상화폐
Q. 재테크 방송에서 나오는 민스키 모멘트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민스키 모멘트(Minsky Moment)는 경제학자 하이먼 민스키(Hyman Minsky)의 이론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금융 시장이 갑작스러운 붕괴를 겪는 순간을 의미합니다. 특히 장기적인 호황과 과도한 레버리지(부채)를 통해 자산 가격이 크게 상승한 후, 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부채를 갚거나 자산을 팔기 시작하면서 발생하는 시장 붕괴를 가리킵니다.민스키의 이론에 따르면, 금융 시장은 주기적으로 위험을 과소평가하고, 투자자들이 더 많은 부채를 활용하면서 위험이 커지다가 결국 통제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면 시장이 붕괴하는 순간을 맞습니다.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이 자산을 급히 매도하면서 시장이 급락하게 되는 것이 바로 "민스키 모멘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