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가시고기 수컷은 왜 번식기에 배가 붉은색으로 변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시고기의 수컷은 발정기가되면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활성화되는데 이 호르몬의 영향으로 배부분의 피부색소세포인 크로마토포어가 활성화되며 붉은색이 나타납니다.붉은색은암컷에게 생식가능함을 알리는 지표로 작용하고, 더 많이붉을수록 더 건강한개체임을 알린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포는 어떻게 에너지를 얻고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세포는 당이나 아미노산, 지질과같은 영양소들을세포내로 들어오는것을 허용합니다.이러한 영양소들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대사과정을 거치고 ATP라는 에너지원으로 바뀌게 되는데이 ATP가 분해되며 에너지를 방출하고에너지를 필요로하는 부위에서는 이 ㅇATP를 끌어들여방출되는 에너지를 활용합니다.이런식으로 세포들이 에너지를 얻고 움직일수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뇌는 평생 10%도 못쓴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이 이야기는 실제로 경험에의해서뇌가갑자기 트이고 두뇌회전이 빨라지는듯한 느낌에의해만들어진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사실은 정반대로 뇌는 모든부위를 활용하고있고이에대한 증거로 뇌의 일부분만 소실되어도신체기능의 일부가 제한된다는것입니다.이미 사람들은 뇌의 모든부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다른 식물이나 동물을 모방한 하는 식물이 있는데요. 시각이 없는 식물이 어떻게 해 다른 생물의 모습을 따라 할 수 있습니까?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시각적인 감각이 없더라도우연히 만들어진 식물의 유전적인 패턴과 색깔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예를들어 우연히 뱀이나 개구리와같은 형태의 색과 모양일 만들어냈다면이 식물근처에는 이들에게 포식당하는 생물들이 기피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기피하던 곤충들이 식물을 괴롭히던 생물이었다면이러한 스트레스 원이 사라지므로우연히도 저런 무늬와 형태를 만들어낸 식물은더 많이 번성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여기서 우연이라는것은 유전적인 돌연변이로 볼수있고,더 많은 번석은 자연선택으로 볼수있습니다.즉, 오랜세월 진화의과정에서 만들어진 특성일뿐시각적으로 인지하고 의도해서 만들어낸 장치는 아니라는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복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세포분열과정에서DNA복제는 크게 4단계로나누어져서 진행됩니다.먼저 DNA의 이중나선이 풀려서 두가닥으로 분리됩니다.그리고 DNA 중합효소가 복제를하기시작하는데,프라이머라는 작은 RNA가닥이 필요해서 이를 먼저 합성해냅니다.이후 DNA 합성이 이루어지고 상보적인 염기가해당서열에맞게 맞춰지면서 새로운 가닥이 만들어집니다.이렇게 복제가 완료되면 방추사가 나와서이 두가닥을 각각찢어서 가져갑니다.이러한 방식으로 유전자가 복제되고세포가분열될때 한가닥씩 가져가게됩니다.분열이 완료된 세포내에서는다시 두가닥으로 붙으며 유전자의 형태로 복원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남극 빙하 밑은 엄청 추운데도 생명체는 어떻게 사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남극의 빙하밑에는 위에서 누르는 얼음의 압력과밑에서 올라오는 지열이 갇혀서주변 영하의 온도보다는 따뜻한영상의 온도즉, 액체상태의 물이 존재할수있는 공간이 있습니다.이곳에서는 생명체가 살아가는것은가능한 온도이긴합니다.또한 이렇게 극지방에 사는 생물들은지방함량이 매우높아체내열이 빠져나가지 않도록하는신체구조를 가지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을 부활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실제로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는 공룡을 완벽히 부활시키는것은 불가능하다고 합니다.단순하게 공룡과 비슷한 현생조류들의 유전자를조금씩 조절해가면서 공룡의 특성들이 발현될 수 있는것인지확인하는 정도입니다.수억년전에 살던 생물들의 유전정보는현재까지 남아있기가 매우 힘들기때문에현재 조류의 유전자를 조금씩 바꿔가면서조절해보는 정도입니다.물론, 화석증거들을 가지고시뮬레이션해보는 작업들은 거치고있으나이 시뮬레이션작업이 복원과정이되려면결국에는 정확한 유전자정보가 필요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물고기는 수압을 어떻게 견딜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물고기는 수압을 견디기위해서너무단단해서 깨지는 특성을가진경질의 신체조직보다는연질로 구성하고있습니다.그래서 수압에의해서 유기적으로 움직여수압을 견뎌낼 수 있습니다.또한 깊은 바다로들어갈수록 이런 특성이강해지는데,심해의 물고기들은 뼈조차도 물렁물렁한연골로구성되어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곤충도 철새처럼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가장쉬운예로 메뚜기떼들이 있습니다.이렇게 먼곳으로 이동하거나 대규모로 이동하는 경우의 곤충들은해당지역에서 먹이가 부족해서 먹이를 찾아 움직이거나산란에 적절한곳을 찾아서이동하기도합니다.곤충떼가아니더라도대왕잠자리의경우 하루에 수십키로까지도움직이는 활동성을 보여주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들도 우리처럼 꿈을 꾸는 걸까요? 그렇다면 왜 꿈을 꿀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우리와 비슷한 포유동물들이나 조류들도꿈을꾼다고합니다.꿀을꿀때에는 자는동안 몸은 움직이지는 못하지만시각적인부분이나 청각적인 부분의 뇌활성도가 증가하는데,해당동물들에게도 이러한 모습이 관측되었기 때문입니다.즉, 자면서 무엇인가 보거나 듣는듯한작용이 일어난다는것이고이는 꿈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실제로 개나 고양이들이 잘때 근처에있어보면입은다문채 속으로 짖거나 우는것처럼 보이는 상황이 있기도하고발이나 허리를 움직여서 달리는듯한 모습을 보여주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