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일부 곤충은 인간에게 이로운 반면 다른 곤충은 해롭다고 여겨질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해충으로 분류되는 종들은 주로 인간을 공격하여상처를입히거나화학적인 분비물을 주입하여 발진이나 알러지반응을 일으키는직접적인 해충,그리고 사람들이 재배하는 식물이나 가축들을 공격하여 재산적인 피해를주는직간접적인 해충,생태계를 파괴하고 수많은 개체로인해 혐오감을 조장하는 간접적인 해충등등다양한 종이 존재합니다.이러한 작용이 없으면서 생태계를 유지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는 종들을익충이라고 부르게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미는 왜 특정 경로를 따라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개미는 일개미들도 일정한 페로몬을 분비하기때문에선발대가 먹이를찾고 되돌아가기 위한 길을 기억하기위해,후발대가 선발대가 찾은 먹이를 찾아가기위해 등등의 이유로페로몬을 분비하며 이동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미와 벌은 어떻게 복잡한 사회를 이루며 살아갈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개미와 벌은 하나의 여왕을 두고 수십년간 알을낳게 도와줍니다.여왕이 가만히 앉아서 산란을 할 수 있도록 먹이를가져다주고알을가져가 사회를 점점 키워나갑니다.여왕은 이러한 서비스를 받기위해 끊임없이페로몬을 분비하여 명령체례를 만들어 관리합니다.이러한 집단군락체제는 사회가 일부 무너지더라도여왕만살아있다면 다시 회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곤충은 시간의 흐름을 어떻게 느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곤충들은 주로 온도나 태양빛의 방향등에따라 시간을 알게됩니다.주로 빛을 감지하는기관에의해 빛의유무를 인지하고밤에는 달빛등을 감지하여 길잡이로 사용하기도합니다.즉, 하루에 대한 개념을 빛의 변화를통해 안다고 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반딧불이는 어떻게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반딧불이의 엉덩이부분에는 루시페린이라는 물질을 만들어내는 기관이 있습니다.이 루시페린은 공기중의 산소와만나 반응하여 형광빛을 내는 물질이기때문에합성된 루시페린을 분비하여 빛을낸다고 볼 수 있습니다.이러한 루시페린은 반딧불이뿐만아니라 심해아 바닷속에서 살며 빛을내는 동물들도잘 사용하는 물질이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1711721731741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