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 전문가입니다.

이상현 전문가
연세대학교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구리가 환경 오염에 민감한 지표 생물로 불리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개구리는 피부와 폐를 동시에 이용해서 호흡하고, 알역시 보호막이 약한 젤리형태이기때문에물이나 토양속 오염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 있습니다.그래서 실제로 살충제나 중금속농도가 증가하면 개구리의 개체수가 감소하거나기형 발생률이 증가하기때문에 환경오염의 조기 경보생물로 활용되기도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암컷 사마귀가 교미 후 수컷을 잡아먹는 경우가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암컷 사마귀가 교미후에 수컷을 잡아먹는행동은 영양보충과 번식 성공률증가와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습니다.수컷을 섭취함으로써 암컷은 알생산에 필요한 단백질과 에너지를 확보하는것이 가능하고,자손의 생존률을 높이는 전략으로 진화된것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마귀의 위장술은 다른 곤충의 위장술과 어떤 점에서 닮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사마귀의 위장술은 주변의 환경과 색, 형태를 흡사하게 모방한다는 점에서다른곤충의 위장술과 비슷합니다.사마귀는 움직임까지 환경에맞춰 느리게 조절가능하고,완벽한 정지자세로 포식자와 먹이를 속이는 행동까지 보일 수 있습니다.그래서 단순히 색이나 모방이상의 행동적위장전략까지 가지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ABO식 혈액형은 어떻게 항원에 노출되지 않았는데도 미리 항체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ABO 혈액형 항체는 자연항체입니다.장내 세균이나 환경속 다당류와 구조가 유사한 항원에 자연스럽게 면역반응을 하면서 만들어지고, A나 B 항원에 노출된적이 없어도, 미생물 노출을통해서 만들어진 항체가 혈액형 불일치 반응을 일으킬수도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RH 혈액형은 어떻게 항체가 태반의 통과할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RH 항체는 주로 IgG형 항체로, igG는 태반을 통과할수있는 Fc수용체를통해서 태야에게 전달됩니다.반면에 ABO항체는 대부분 IgM형으로 분자구조가 크기떄문에태반통과가 어려워서 ABO와 달리 RH혈액형에서는 산모항체가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없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양이 털 색깔의 발현 시 신체 말단 부위가 주로 검은색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고양이의 끝부분의 색소가 진한이유는, 온도에민감한 멜라닌합성효소때문입니다.몸 중심보다는 귀나 발, 꼬리같은 말단부는 체온이낮아서 이러한 효소활성이 제한되고,그 결과 검은색과같은 어두운색소가 선택덕으로 발현되어서시암고양이처럼 체온에따른 색 패턴이 나타난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 중에 가장 오래 사는 것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동물중에서 가장 오래사는걸로 알려진 종은 그린란드 상어라고합니다.400년 이상 생존가능한걸로 알려져있습니다.이외에도 육상에서는 거북이가 장수의 상징으로 100~200년정도의 수명을 갖고있습니다.이들은 대사속도가 느리고, 포식자가적고, 세포손상회복능력을 어느정도 갖고있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성 플랑크톤이 지구온난화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뒤산소를생성해냅니다.해양탄소순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하는 종입니다.일부 연구들에서는 이러한 플랑크톤을 이용해서 해양탄소격리기술을 개발하고대기 CO2를 줄이는 방안을 찾고있습니다.다만 생태계가 끊임없이 영향을받고 효과의 지속성이 떨어지는문제가있어단독으로는 지구온난화의 해결책이 되기는 어렵다고 평가받고있습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잠자리의 날개 진동 연구는 물리학적·공학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잠자리의 날개 진동에대한 연구는 비행역학 측면에서 난류의 제어와 에너지 효율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의미가 있다고합니다. 또한 공기역학적으로는 이를 모방해서 소형 드론이나 마이크로 비행물체 설계에 적용해서기존 프로펠러 방식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비행기술을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합니다.감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중에서 가장 많은 수면시간을 갖는 동물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곰의 겨울잠은 휴면상태에 돌입하여 대사를 억제하는것을 중점에두고있기때문에,일반적인 수면상태와는 구별되는 현상입니다.코알라는 하루에 약 18~22시간을 자고, 박쥐는 최대 하루 20시간을자고, 나무늘보는 약 15~20시간을 잔다고 알려져있어, 이들이 수면시간이 긴 동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67891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