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8월 8일 작성 됨
Q.
지금도 계속 유물이 나오고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유물탐사는 상황이 열악합니다.일단 유물이 묻혀있는 곳을 찾기위한 근거가 될 수 있는 사료가 너무 부족합니다.둘째로 한국전쟁으로 인해 전 국토가 초토화되어 본래 있었던 유물은 물론 땅속에 묻힌 유물들도 많이 파괴가 되었습니다.셋째로 북한과 중국등에 있는 유물은 현재 탐사가 불가능합니다.위와 같은 이유들로 인해 유물 탐사가 여의치 않아서 그렇지 역사에 대한 의식이나 열정이 부족해서 그런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8일 작성 됨
Q.
삼국 시대에 전쟁을 통해 또는 상대방의 수도까지 들어가서 왕을 죽인 사례가 있는데 왜 복속까지는 시키지 않았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한국 고대 국가들인 삼국사이에서 서로의 왕을 죽이기까지 한 전쟁은 몇차례 있었습니다.고구려 고국원왕이 백제의 태자 근구수가 이끄는 군사에게 화살을 맞아 전사하거나 백제 개로왕이 고구려 장수왕의 무장들인 재증걸루와 고이만년에게 전쟁중 붙잡혀 참수당한 적도 있습니다.백제 성왕은 신라 문무왕의 군대에게 사로잡혀 참수를 당했구요.그런데 이런 상황에게 왜 나라까지 정복하지 않았냐 의문이실수 있는데 그것은 삼국간의 항쟁에서 나라까지 합병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 당나라또한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키고 웅진도독부, 안동도독부는 물론 신라까지 집어삼키기 위해 계림도독부를 두었으나 각지에서 일어난 독립전쟁으로 큰 손실을 보고 결국 손을 떼게 되었죠. 그후 만주쪽에서도 발해가 들어섰구요.당나라 사례를 보면 만약 삼국중 다른 나라를 멸망시켜서 합병한다해도 그곳에 군사를 주둔시켜야하고 게릴라적인 독립군과 싸워야하기 때문에 기를 꺾어놓는 정도로 계속 우위를 점하는 선에서 만족했던 것 같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이순신이 무과에 과거급제시 성적이 중간정도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이순신은 1576년 32세 때에 식년시에 합격하게 됩니다. 이때의 합격자 명단과 성적은 확인이 가능한데요. 갑과가 3명, 을과가 5명, 병과가 21명으로 총 29명을 뽑았습니다. 이순신장군은 병과 4등으로 전체 합격자 29명 중 12등을 하였습니다.원균장군은 을과 2등 총 5등에 해당하는 높은 성적으로 무과에 급제하였습니다.행복은.. 아니 명장은 성적순이 아니였습니다.
역사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10만 양병설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는 군역의 폐단이 심한 사회였습니다. 유교 먹물이 든 양반들은 어떻게든 군역을 빼기 일쑤였습니다.하지만 율곡 이이가 주장한 십만 양병설은 이런 양반들의 군역의 폐단을 개혁하고 정예병사를 양성하여 수도에 이만 나머지 도에 일만씩 군사를 두자는 계획이었습니다. 그러나 유성룡같은 고위직에 있던 사람조차 “사변이 없는데 군병을 기르는 것은 화근을 기르는 것이다”라며 반대를 하여 결국 무산되고 말았습니다.예나 지금이나 지도층이 자기네들이 솔선수범해서 고생을 하면서까지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려는 생각은 추호도 없었던 것입니다.
역사
2024년 8월 7일 작성 됨
Q.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의 시민들은 기본적인 무예가 뛰어난 전사였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고대 그리스의 시민은 호플리테스라고 불리는, 주로 창과 방패로 무장하였습니다.시민들만이 전쟁에 참여할 수 있었고 이들은 자비로 무장을 하였는데 이로 인해 참정권등을 가지고 있는 등 상당한 기득권만이 시민이 될 수 있었습니다.고대의 철학자등도 이러한 시민계급이 많았고 이들도 당연히 전쟁에 참여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156
157
158
159
1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