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이상훈 전문가
상명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조강지처라는 말의 뜻이 무엇이고 생긴 유래가 어떻게 되는가요?
'조강'은 술지게미와 쌀의 겨를 뜻합니다. 그래서 조강지처라는 말은 가난하여 보잘것없는 음식들을 나눠먹은 아내정도로 풀이됩니다. 유래는 한나라의 유학자 송홍은 본래 가난한 집안이었지만 분발하여 학업에 매진하여 높은 벼슬에까지 올라습니다. 어느날 왕후가 송홍같은 대학자가 출신도 한미하고 외모도 볼 것없는 아내와 살고 있는 것을 가여이여겨 이혼을 하고 새로운 배필을 맞이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송홍은 '저는 어려운 시기를 함께한 조강지처를 버릴 수 없습니다.'라며 거절하였다 합니다.
역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몽골군이 적들의 사기를 떨어트리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었나요?
몽골군은 적들을 공포에 질리기 하기 위해 초토화 전술을 썼습니다. 항복하면 관대하게 용서해주지만 대항을 하면 그 자리는 풀뿌리하나 남지 않게 되었지요. 이러한 공포가 다른 지역이나 나라로 퍼져나가면서 항복을 선택하는 곳들이 많아져서 손쉽게 점령지를 늘려나갔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여행지가 어디있을까요?
개인적으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대첩에서 승리를 거두웠던 전적지를 가보시는 것은 어떨까요?그곳 절벽에 정자가 하나 있는데 눈 아래에 보이는 바다에서 당시 전쟁을 상상해보니 자긍심이 마구 솟아나더라구요.
역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시간이 24시간으로 정해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고대 중동은 수학적인 선진국이었다고 들었습니다.'0'이라는 개념을 처음 만들었고 우리가 쓰고 있는 숫자도 아라비아 숫자라고 하지요.24시간의 개념은 이집트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천문학적 관찰과 태양의 위치를 바탕으로 해가 떠 있는 시간을 12시간, 해가 진 시간을 12시간으로 나누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만남이 있으면 헤어짐이 있는 법이란 말
회자정리, 거자필반-모이면 반드시 이별이 있고, 떠나간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입니다.제가 알고 있기로는 불교경전에서 쓰이는 말로 알고 있습니다.어느것도 영원하지 않으니 인연의 소중함을 깨달아야한다는 의미로 알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10일 작성 됨
Q.
중국역사에서 사마의는 어떻게 죽어서 황제반열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인가요?
사마의는 중국 삼국시대 조조 사후 위나라의 전권을 장악한 인물입니다.조진을 비롯한 조씨와의 권력 다툼에서 승리한 이후 사마의와 그의 아들들은 촉과 오나라를 무너뜨리며 삼국통일을 이뤘지요. 그리고 사마의의 손자인 사마염은 조씨를 황위에서 끌어내리고 대신 황제에 오릅니다.어느 황조이든 새로이 나라를 세우면 황제가 자신의 선조들에게 시호를 올립니다. 일종의 명예직 같은 것이지요.
역사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장영실은 얼마나 대단한 인물인가요?
노비신분으로 대호군이라는 지위에 올랐으니 당시 경직된 신분구조를 감안할 때 대단한 능력을 가진 인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가장 잘 알려진 측우기만이 아니라 간의, 앙부일구, 옥루, 일성정시같은 천문관측 기구를 만들어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천문관측과 역법을 발전시킬 수 있게 하였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삼국지의 촉한에대해 자세한 정보가 있는 국내에서 발간된 책이 있을까요?
흔히 '칠실삼허'라고 해서 나관중이 쓴 삼국지는 허구가 많이 가미되어 있습니다.때문에 당시 정확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진수의 '정사 삼국지'입니다.다행히 한국 번역본으로도 나와 있으니 참고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정사 삼국지 촉서'라고 별도로도 구매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역사
2024년 6월 9일 작성 됨
Q.
진인사대천명은 무슨뜻인지 자세하게 알수있을까요?
'진인사대천명'이라는 말은 무슨 일이 있을 때 사람이 최선을 다해 노력을 한 다음에는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라는 뜻입니다. 열심히 노력한다고 항상 성공과 성취를 거둘 수는 없고 어느정도는 운명에 맡길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역사
2024년 6월 8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왕들의 주요 정책이나 제도 중에 현재 우리나라에 반영되고 있는 정책이나 제도가 있을까요?
'신문고'제도가 있습니다.조선 태종대에 실시된 신문고제도는 백성들이 나라에 억울한 일이 있을 때, 직접 임금에게 그 사연을 고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현대에도 '국민신문고'라고 하여 국민들이 억울한 일이 있으면 상급 기관에 사연을 알릴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161
162
163
164
1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