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슬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슬이 전문가입니다.
이슬이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지구의 온도변화가 인류에게 왜 큰영향을 미치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온난화에 의해 지구의 온도가 1도씩 계속 올라가면 빙하가 녹아 지구 바다의 평균 해수면 높이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육지의 면적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동식물들이 살 수 있는 땅도 줄어서 식량문제를 야기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빙하 속에 있는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나 균주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문제를 만들 수 도 있겠지요.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추운날 방전이 빨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낮아지면 움직임이 극히 둔해집니다 때문에 에너지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배터리가 빨리 닳습니다.이러한 원리로 질문자님의 질문을 설명 드릴 수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공학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라부아지에의 업적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흔히 알려져 있는 라부아지에의 업적은 질량보존의 법칙을 밝혀낸 것입니다. 이 법칙은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전 반응 물질의 질량과 화학반응 후 생성된 물질의 질량이 같다는 것 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싱크홀은 어째서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따르면 싱크홀은 땅이 꺼지는 자연현상입니다. 지질학적 용어로 쓰이는데요. 석회암의 주성분인 탄산칼슘이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는 빗물이나 지하수에 의해 용해되기 때문에 지반 내에 빈 공간이 발생해서 지표층이 침하되거나 함몰되어 땅이 꺼지는 것이 그 원리 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빙하가 녹으면 왜 해수면의 높이가 올라가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 말씀대로 빙하와 빙산이 녹으면 해수면이 높아집니다. 그 이유는 빙하와 빙산이 녹으면 토양이 드러나고 지구가 흡수하는 태양 에너지의 양은 많아집니다. 지구 온난화는 해수의 온도를 높이고 극지방에 있는 빙산과 빙하가 더 빨리 녹습니다. 그러면 그 물이 바다로 더 많이 흘러가게 되어서 해수면이 높아집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바닷물의 염도는 어떻게되며 비가오면 농도가 바뀔까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질문자님 말씀대로 비가오면 염분이 낮아집니다.비가 많이 오게 되거나, 강물이 바다로 들어오게 되면, 바닷물 속의 염류의 양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그러나 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염분이 낮아집니다. 참고로 증발량의 증가가 있으면 염분이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토목공학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기차 철로에 크고작은 자갈이 깔려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기차 철로에 깔려있는 자갈들은 열차에 소음을 흡수 하는역할, 열차에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서 하중을 줄이는 역할, 배수에 이익을 주는 역할, 충격 흡수 및 이탈 방지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모래지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모래지옥은 퀵샌드라고도 불립니다. 물에 의해 모래가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모래에 물이 들어가면 모래알들의 마찰이 사라져서 멈추지 않고 빠져들어가는 것입니다. 물에 모래알들이 녹아있는 액화상태가 된다고 합니다. 모래지옥에 빠졌을 때는 당황하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우리 몸의 밀도가 모래지옥의 밀도보다 낮아서 뜨게 되어 빠져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화학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곡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술이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곡물이 술이 되기 위해서 우리는 누룩을 넣습니다. 누룩은 곡물에 누룩곰팡이, 효모, 젖산균 등을 배양한 우리나라 전통 술 발효제입니다.곡물은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잇기 때문에 누룩 속의 효소가 탄수화물을 분해해 당으로 만듭니다. 누룩 속 효모는 이 당을 이용해 알코올 발효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당은 에너지와 함께 에탄올과 이산화탄소를 생성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4일 작성 됨
Q.
눈 내릴 때 왜 포근한 느낌이 드는거죠?
안녕하세요. 이슬이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함박눈이 올 때 질문자님처럼 포근하다고 느끼게 됩니다.함박눈이 올 때는 바람이 적어 체감온도가 낮아지지 않습니다. 우리 사는 주변 높이에도 수증기가 얼면서 눈으로 변합니다. 이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 포근한 것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