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충렬전의 내용이 궁금합니다, 주제 및 전반적인 작품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유충렬전]은 작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조선 후기의 창작 영웅소설로, 명나라 충신 유충렬이 간신의 모함으로 가문이 위기에 처하지만 영웅적인 역경 극복으로 가문과 국가를 구해내는 이야기입니다. 이야기는 영웅의 성장을 기본으로 전개됩니다. 선과 악의 대립 속 영웅이 위기 극복을 하며 충신의 궁극적인 승리와 그에 따른 가문의 부흥, 부귀공명의 실현을 그리고 있습니다. 주제는 충忠의 가치를 실현, 권선징악, 영부귀공명의 실현을 나타냅니다.
Q. 메밀꽃 필 무렵에의 내용 및 전반적인 작품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어떤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메밀꽃 필 무렵》은 한국 단편소설의 대표작으로, 강원도 봉평 장터를 배경으로 떠돌이 장돌뱅이 허생원의 인생과 애환 그리고 본연의 사랑을 서정적으로 그려낸 작품입니다. 시간적 배경으로는 1930년대 일제 강점기, 공간적 배경으로는 강원도 장터와 메밀꽃밭이 주된 이야기가 펼쳐지는 공간입니다. 주인공 허생원이 평생 장돌뱅이로 장터를 떠돌며 살며, 젊은 시절 봉평장에서 만난 성서방네 처녀와의 하룻밤 인연을 평생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느날 허생원이 봉평장에서 장사를 마치고 젊은 장돌뱅이 동이에게 자신의 첫사랑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동이역시 자신의 출생의 비밀과 힘든 성장사를 이야기 합니다. 이야기를 들은 허생원은 동이가 자신과 성서방네 처녀 사이에 태어난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강한 암시를 받습니다. 허생원은 동이가 자신과 같이 왼손잠이 인 점 등으로 더욱 확신하며, 동이 어머니가 있는 제천으로 향하는 열린 결말로 소설은 마무리 됩니다. 작품의 특징으로는 우선 수려하고 아름다운 서정적인 문체가 돋보입니다. 또한 강원도 시골의 장터, 농촌의 풍경, 토속적인 언어 등 향토성과 토속성을 보여주며, 인간 본연의 사랑과 혈연의 정을 주제로 하며 인간 보편적인 감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열린결말과 단편소설로서의 완성도도 뛰어난 작품입니다.
Q. 우리나라 운문문학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운문문학을 시대별로 꼽아보자면은요. 고대가요로 [구지가], [황조가], [공후인] 등이 있으며 설화적 배경과 함께 운문문학의 기원으로 볼 수 잇습니다. 이후 이두로 기록된 우리말 시가인 향가로는 [제망매가], [처용가] 등이 대표적입니다. 고려속요로는 [청산별곡], [서경별곡], [동동] 등은 고려시대의 대표 운문문학입니다. 조선시대에는 대표적으로 시조와 가사가 있는데, 시조로는 [어부사시가] 등이 대표적이빈다. 가사는 [관동별곡], [사미인곡] 등이 있습니다.
Q. 흔히들 말하는 쌍팔년도는 어디서 유래된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쌍팔년도라는 어원은 현대에선 '시대에 뒤떨어진', '구식의' 등으로 사용됩니다. 이 어원에 대한 다양한 설이 있지만, 유력한 설을 말하면 '쌍팔'은 8이 두번이라는 뜻으로 고조선 건국을 기점으로 하는 단기 4288년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한 1955년과 같은데 그 시점을 말하는 것입니다. 언론이나 군대 미디어 매체에서 ;쌍팔년도' 라 말하는 것은 그 시절 궁핍하고 낙후되었던 시절을 비유하는 것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1988년 역시 8이 두번이 들어가게 되면서 혼용되어 사용하기 시작하였는데요. 요기서 지칭되는 1988년의 의미는 1980년대식 권위주의, 비합리적인 사회분위기, 민주화 이전의 낡은 관습 등을 표현하였습니다. 두 시점 보두 구식, 옛날의 같은 뜻으로 사용함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Q. 소설 기법 중 내러티브 기법은 어떤 기법이고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내러티브 기법은 시간의 흐름을 중심으로 둔 서사기법입니다. 사건이 일어난 시간적 순서를 중요시 하며, 각 사건이 전체 이야기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배열합니다. 또한 상징, 은유, 반복과 같은 수사법을 이용하여 독자가 숨은 의미를 발견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내러티브 기법은 단편적인 사건들이 의미있는 하나의 이야기로 재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인물의 성장과 실패, 깨달음 등 삶의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게 됩니다.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에서는 보여지는 이야기는 "노인이 커다란 물고기를 잡으려다가 결국 잔해만 남긴채 돌아온다"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하지만 이 단순함 속에 인물의 내면, 자연과 인간의 관계, 인물의 한계와 도전, 삶의 의미 등 모두 녹아 있게 됩니다.
Q. miscellany와 essay는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miscellany와 essay는 모두 우리말로 ‘수필’로 번역되지만, 주제와 형식 면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 miscellany의 경우 생활 속 자연스러운 이야기로, 개인적이고 서정적인 글로 가볍고 주관적이며 개성적인 글입니다. 반면에 essay는 시사적 철학적인 주제를 논리적으로 다루고 객관적이고 비평적 경향이 강한 글입니다. 논리적인 전개로 이루어 지며 사회적, 실용적인 가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miscellany(경수필)는 자유롭고 서정적인 개인적 글, essay(중수필)는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사회적글로 차이가 있습니다.
Q.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는 능력을 포괄적으로 이르는 용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인간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는 능력을 일컫는 심리학적 용어는 감정지능(Emotional Intelligence, EI) 라고 합니다. 감정지능은 개인의 성공과 만족, 사회적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근래에 들어 핵심정인 능력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감정지능이 높은 사람이 자신은 물론이고 타인의 감정도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갈등 상황에서도 현명으로 대처하고, 효과적인 일처리와 소통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