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동래야류는 어떤탈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래야류는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전해오는 탈놀음이며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1272100180000
Q.  우리나라에 일본의 말들이 잔재로 남아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언어를 사용하면서 이것이 순 우리말인지 한자어인지 구분하지 못하거나 이것이 외래어 중 어떤 국가의 언어(영어, 프랑스어)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육상 어떠한 단어는 순 우리말이고 어떠한 단어는 한자이다 이런것들을 정확히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본어와 한국어를 둘다 아는 세대들이 어떠한 단어가 일제의 잔재인지 아닌지 잘 모르는 상태에서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https://m.blog.naver.com/angel_volunteer/220966940057
Q.  아름답다에서 '아름'은 무슨 뜻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아름에 대한 어원에 대하여 여러 주장이 많지만, '나'답다라는 주장이 존재합니다.다음의 내용이 존재합니다.국내의 언어학자들은 이 ‘아름답다’의 ‘아름’을 ‘아롬(私.나)’, ‘안음(抱)’ ‘알음 (知)’ 로 의견이 분분한데 우선 나(私)를 주장하는 서 모 전 교수는 ‘답다’는 명사 뒤에 붙는 접미사로 명사를 형용사로 전이시키는 구실을 하고 있음으로 아름은 명사이어야 하는데 알다(知)나 안다(抱)는 동사이며 알(知), 또는 안(抱)에서 ‘음’ 이라는 접미사가 붙어 ‘알음’이 되는 전성명사에 ‘답다’ 라는 접미사가 다시 붙어 형용사가 된 예는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즉 ‘답다’는 ‘학생답다’, ‘소녀답다’, ‘여자답다’ 와같이 명사 뒤에 붙어야지 ‘졸음답다’, ‘웃음답다’, ‘울음답다’ 하는 식으로 전성명사 뒤에 ‘답다’가 붙는 조어법은 없다는 것이다.그러므로 아름은 나(私)이며 그래서 ‘아름답다’는 결국 ‘나답다’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덧붙여 세상사람 중 다 제 잘 란 맛에 살기 때문에 아무리 자신이 추한 모습과 고약한 성격을 가졌어도 자신이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데서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https://news.koreadaily.com/2020/11/15/society/opinion/8840105.html
Q.  우리나라의 자영업자 비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자영업자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양질의 일자리가 적음)이 가장 큰 이유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726119000502
Q.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바뀐 계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후금이 명나라를 공격하고 향후 후금이 청나라가 되고 청나라가 세워지며 명나라가 멸망합니다.1368년 건국된 명나라는 활발한 대외원정과 내정개혁으로 발전해 나갔으나 명 4대 암군의 등장으로 내정이 해이해졌고, 이른바 북로남왜라 불리는 몽골족과 왜구의 침입으로 점점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여진족에 대한 통제가 약화된 것이 전쟁의 시작이였다고 합니다.
3863873883893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