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밀키트와 레토르트는 어떤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밀키드 손질된 식재료 및 양념을 포함하는 조리 직전 단계의 간편식을 이르는 말입니다. 레토르트 식품(Retort food)은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살균하여 알루미늄 봉지에 포장한 식품을 말합니다. 기사에 따르면 다음과 같습니다.HMR(Home Meal Replacement)은 가정간편식을 의미하며, 바로 섭취하거나 가열 등 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치면 식사로 대용할 수 있는 식품을 말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 상으로 즉석식품류가 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즉석식품류에는 즉석섭취•편의식품류와 만두류 등이 있다. 소비자가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또는 단순 조리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가공•포장한 식품을 즉석섭취•편의식품류로 정의하고 있다. 이외에도 냉동 돈까스, 육가공 제품처럼 프라이팬, 냄비, 오븐 등의 조리기구를 이용해 데우거나 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친 뒤 섭취 가능한 제품도 포함된다.즉석조리식품은 식품공전상 즉석섭취·편의식품류의 하위 분류에 속해있으며, 동•식물성 원료를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가공한 것으로서 단순 가열 등의 조리과정을 거치면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된 국, 탕, 수프, 순대 등의 식품을 말한다.밀키트(meal kit)는 meal(식사) + kit(키트,세트) 라는 뜻의 식사키트라는 의미로 쿠킹박스, 레시피 박스라고도 불리며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 HMR)과 조금 다른 간편조리세트이다. 조리되지 않은 손질된 농·축·수산물과 가공식품 등 조리에 필요한 정량의 식재료와 양념 및 조리법으로 구성되어, 제공되는 조리법에 따라 소비자가 가정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한 제품을 말한다.간편조리세트(밀키트)는 지금까지 즉석조리식품으로 분류되었으나, 2020년 10월 16일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를 통해 신설됐다. 코로나19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밀키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유명 쉐프들의 레시피로 제공되는 meal kit도 출시되고 있으며, 정기 구독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레토르트식품은 저장을 목적으로 한 가공식품으로, 조리 가공한 식품을 일종의 주머니에 넣어 밀봉한 후 고압 가열 살균솥(retort)에 넣어 고온에서 가열 살균하여, 공기와 광선을 차단한 상태에서 장기간 식품을 보존할 수 있도록 만든 식품이다. 카레, 스파게티 등이 주메뉴였으나 최근에는 즉석 밥, 죽, 반찬 등 점차 종류가 다양하고 고급화되고 있다.레토르트식품은 진한 맛을 내기 위해 소금 함량이 높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나트륨 함량과 더불어 지방함량도 비교해 낮은 제품을 고른다. 또한 식품섭취 시 생야채를 함께 먹는 등 나트륨을 줄이고 비타민을 첨가할 수 있는 식단이 권장된다.저장을 목적으로 한 가공식품인 레토르트식품은 보존제 없이도 대부분 실온에서 1년 이상 보존이 가능하지만 제품에 따라서는 냉장보관해야 하는 제품도 있으므로 보관방법을 반드시 확인한다.출처 : 데일리경제(http://www.kdpress.co.kr)http://www.kd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141
Q.  밈주식이 어떤걸 보고 얘기하는 거죠?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밈주식은 각종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투자자의 눈길을 끌어 유행을 타게 된 종목을 말합니다.사실 그렇게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9632
Q.  경제 관련 뉴스보면 립스틱 효과 란 용어가 나오는데 무엇인가여?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립스틱 효과는 소비자의 심리적 만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상품이 잘 판매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특히 여성 소비자의 어려운 경제 여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저렴한 립스틱만으로도 만족을 느끼며 쇼핑을 알뜰하게 하는 데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217
Q.  경제 용어중에 샤워실의 바보라는 말의 의미?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시장보다 먼저 진입하면 당연히 좋은 것이라고 볼숭 있지만 아무도 미래를 정확하게 예상할수는 없고 일반인들은 장기 투자가 불가능한경우도 많을 것입니다.샤워실의 바보(Fool in the shower room)는 샤워실에서 물을 틀 때 따뜻한 물이 빨리 나오도록 수도꼭지를 온수 방향으로 돌렸다가 너무 뜨거우면 깜짝 놀라 재빠르게 찬물 쪽으로 돌리고, 반대로 찬물에 세게 나오면 따뜻한 물로 얼른 수도꼭지를 돌리는 것처럼 정부의 성급한 경제 정책을 비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90819
Q.  예금과 적금 중 뭐가 더 이자가 많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금과 적금 중 어떠한 저축이 더 유리한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보입니다.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eiec.kdi.re.kr/publish/columnView.do?cidx=12293&sel_year=2019&sel_month=11
4864874884894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