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의 갯벌중에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갯벌이 4군데가 있다는데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화재청에 따르면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갯벌」은 ▲ 서천갯벌(충남 서천), ▲ 고창갯벌(전북 고창), ▲ 신안갯벌(전남 신안), ▲보성-순천갯벌(전남 보성·순천)등 총4개로 구성된 연속유산으로 5개 지자체에 걸쳐 있으며, 모두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오직 신라에서만 여왕이 존재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에만 유독 여왕이 있었던 가장 주요한 원인은 신분제도인 '골품제도'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고구려나 백제에서는 왕에게 아들이 없는 경우 유력한 왕족의 한 사람이 왕위를 계승하면 되었지만 원래 신라는 성골만이 왕위를 받을 수 있던 것입니다.남자인 성골이 없어지자 선덕여왕이 왕위를 물려받았고 그 이후 진덕여왕이 왕위를 이어받았는데, 진덕여왕이 재위 8년 만에 사망해 버리자 왕위는 삼국 통일의 주역인 진골 출신 김춘추에게 넘어가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임꺽정이 도적이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꺽정이 도적이 된 이유는 당시의 나라상황이 혼란스러운 탓도 있지만, 백정이라는 신분에 의한 것이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더 크다고 보여집니다.http://www.financialr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358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 최초 여류작가는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김명순(1896~1951)은 한국 근현대 문학 최초의 여성 작가였습니다. 1917년 소설 '의심의 소녀'가 공모전에서 2등으로 당선돼 등단했다고 합니다.https://www.yna.co.kr/view/AKR20180117072800371
역사
역사 이미지
Q.  음식 탕평채가 영조 시대에 탕평책을 하면서 만든 요리라는 것이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탕평책과 탕평채는 관련있는 음식이라고 합니다.‘탕평채(蕩平菜)’는 노란 메밀묵에 붉은 돼지고기, 파란 미나리, 검은 김의 4가지 색깔의 음식을 초장에 버무려 먹는 요리입니다 ‘탕평책(蕩平策)’을 논의하는 모임에서 처음으로 상에 오른 음식이 있었는데, 이것을 가리켜서 ‘탕평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서로간의 화합을 꿰는 자리에서 나오는 음식이라고 보여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명성황후는 황제의 비인데 왜 민비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명성왕후는 민비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은데, 살아있을 때 황후가 아니었으니 명성황후란 호칭도 있을 수 없었습니다. 고종이 황제에 1897년에 올랐고 민비는 1895년에 사망하였습니다.과거 명성황후 대신 널리 쓰인 호칭으로 민비(閔妃)를 들 수 있는데, 이 또한 공식적인 명칭은 아니지만 현재로서는 가장 많이 불리고 있는 이름이라고 보여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영조임금이 아주 장수한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영조임금이 장수한 비결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대수명이 엄청나게 짧았던 조선시대에서 영조는 조선의 왕 뿐 아니라 조선인구 전체로 보아도 굉장히 장수를 한 편이라고 합니다.영조의 장수비결은 식습관에서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특유의 소식습관, 끼니를 거르지 않는 것, 그리고 현미나 잡곡 등을 즐겨 건강관리가 잘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중국 역사상 어떤 왕조에서도 ‘중국’이라는 명칭을 쓰지 않았던데, 언제부터 생겨난 국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사에 따르면 중국이란 명칭이 국호로 처음 사용된 것은 1689년 러시아와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할 때이며, 공식적으로 중국을 국호로 선언하고 사용한 것은 신해혁명(辛亥革命)의 성공으로 청조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中華民國)을 수립(1912, 01, 01)한 때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실제로 호빗족이라고 불리우는 난쟁이들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호빗족이라고 불리우는 종족이 실제 존재하였던 것은 아닙니다만, 인류의 조상 중 하나의 기원으로 알려진 호모 플로렌시스가 호빗과 같이 키가 작았다는 연구결과가 존재합니다.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0612601017
역사
역사 이미지
Q.  빨갱이란 말은 어떻게 시작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재 국어사전에서 빨갱이는 '공산주의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고 빨갱이의 어원은 빨치산에서 왔다는 설과 색 '빨강'에서 왔다는 설이 있습니다. 빨치산는 프랑스어로 ‘동지’ 또는 ‘당파’라는 뜻의 ‘parti(파르티)’에서 유래하여, 러시아의 파르티잔이 되어 우리나라에서 빨치산으로 발음되었다는 주장입니다. 반면 공산주의의 상징 색인 붉은색에서 시작된 빨강이가 빨갱이로 변했을 가능성도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6162636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