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전문가입니다.

이예슬 전문가
이화여대
Q.  인플레잡기위해 금리를 올리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변동에 따른 효과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기대경로에 따른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기대경로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킨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된다.
Q.  현재 부자는 자산 얼마정도 있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부자라는 개념은 상대적인 것으로 시대에 따라 그리고 같은 시대라도 주관적 시각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는 부자라는 개념에 해당이되려면 현재로서는 10억정도로는 부족하고 적어도 50억정도의 자산가가 되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Q.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린다는데 어떤 논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변동은 여러가지 효과를 갖게 되는데, 인플레이션과 금리와 관련된 내용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기대경로기준금리 변경은 일반의 기대인플레이션 변화를 통해서도 물가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기준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이 물가상승률을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한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기대인플레이션을 하락시킨다. 기대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제품가격 및 임금근로자의 임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국 실제 물가상승률을 하락시키게 된다.
Q.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인한 금리역전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27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1.50~1.75%에서 2.25~2.50% 수준으로 0.7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의 기준금리(2.25%)보다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했는데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진 건 2020년 2월 이후 약 2년 반 만입니다.외국인 자금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등 악영향이 예상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추경호 기획재정부장관(경제부총리)는 국내 시장의 영향이 제한적이고 각 기관들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시장을 달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Q.  금리인상과 FOMC의 기능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한국은행과 같이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System, 보통 Fed라 줄여 부름)입니다.KDI의 내용에 따르면 FED는 다음의 역할을 수행합니다.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324FOMC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를 말합니다.FOMC는 1년에 8번 6주에 1번씩 토론과 회의를 진행하여 금리, 고용지표, 인플레이션, 통화정책 등 전 세계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내용을 주제로 회의가 진행됩니다.FOMC의 구성원은 총 12명으로 연준(FED)이사 7명,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 1명, 나머지 4명은 11개의 지역의 은행 총재들이 해마다 돌아가면서 참석합니다.FOMC에서 미국의 금융정책이 결정된다고 보면 되기 때문에 회의의 결과에 따라 증시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입니다.
9819829839849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