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암호화폐의 미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가상화폐의 대표격인 비트코인은 현재 존재하는 수많은 암호화폐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신원 미상인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2008년 10월에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의 9쪽짜리 논문을 통해 공개되었고, 2009년 1월 3일에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제네시스블록)되었습니다.15년이 안되는 역사동안 사실상 가치가 0과 다를바 없었던 비트코인의 최고가격은 약 5만달러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상승가치를 더 높게 보는 시각들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기존 화폐와 달리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기관의 개입없이 개인간(P2P)의 빠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며, 정부가 원하면 더 찍어낼 수 있는 기성 화폐와는 달리 최대 발행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가상화폐가 전세계적으로 미래의 법정화폐가 될 것이라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특히, 미국과 같은 화폐가치의 안정성을 갖고 있는 선진국들이라면 더욱 그러할 것입니다.하지만 가치판단의 시각으로 접근한다면 단기적 투자(단타)보다는 장기적 투자의 마음을 갖고 접근하여야 하며 여유자금으로만 투자하시길 권장드립니다.코인을 공부하시고 싶다면 각 코인들의 백서(a white paper)를 보시면 도움이되며, 가볍게는 업비트와 같은 사이트에서 각 코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변동금리 고정금리관련 고민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는 추가적으로 올라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특히 28일 새벽으로 예정된 미국금리에 관한 FOMC에서도 금리인상이 예견되고 있습니다.다만, 얼마나 올라갈지 금리인상기간이 얼마나 갈지는 확실히 예상할 수 없어 대출금리 등의 결정을 할때는 신중이 움직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대출 받을 때 금리적용방식을 결정하는데 크게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방식이 있습니다.고정금리는 대출받을 때 결정한 금리가 대출기간 동안 동일하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변동금리는 대출기간 동안 일정주기마다 대출기준금리의 변동에 따라 대출금리가 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한편, ‘혼합형금리’ 적용방식도 있습니다. 보통 일정 기간 고정금리 적용 후 변동금리가 적용되는 등 고정금리와 변동금리방식이 결합된 것입니다.고정금리 vs 변동금리나에게 적합한 대출금리 적용방식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자금 필요기간, 시장금리 변동, 대출 상품의 특성 등 여러 가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대출을 받기 전 영업점 상담 등을 통해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합니다.
Q. 주가수익비율PER이 실효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PER(퍼)는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시장가치비율을 말합니다. 기업가치를 평가하는데 신뢰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PER만을 보고 기업가치를 볼 수는 없습니다.산식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누는 것인데, PER가 낮을 경우 해당 회사가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낮고 그에 따라 기업의 가치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는 의미로 볼 수 있고 PER가 높으면 거둔 이익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보시면 됩니다.PER가 높다/낮다는 주관적인 판단요소가 될 수 있고, 사실 일반적인 PER의 높/낮다를 해석하는데 있어 긍정적/부정적 해석이 둘 다 나올 수 있습니다.1-1. PER이 낮다.(저PER, 긍정적)=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낮다.=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주가가 싸다.= 수익성과 성장성, 위험성을 고려하였을때 양호하다 판단됨에도 시장에서 저평가 받고 있다. (가치주)= 투자하기 적합하다1-2. PER이 낮다. (저PER, 부정적)=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낮다.= 수익성, 성장성, 위험성을 고려하였을 때, 좋아 보이지 않으므로 시장에서 낮게 평가 받고 있다.= 회사의 경쟁력 약화 및 시장환경 악화 등의 의해 시장에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투자하기 부적합하다.2.1 PER이 높다. (고PER, 긍정적)=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높다.=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주가가 비싸다.= 시장에서 내재가치에 비해 고평가 받고 있다. = 투자하기 부적합하다2-2. PER이 높다. (고PER, 부정적)= 기업의 내재가치 대비 시장가치가 높다.= 현재 회사의 실적보다는 미래의 신제품 출시 등으로 높은 성장이 기대되어, 시장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성장주)= 투자하기 적합하다.따라서 PER는 해당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하나의 요소일 뿐이고 투자 여부는 본인의 기준으로 신중하게 접근하셔야 할 것입니다.
Q. 대출금은 잘갚고있는데 신용점수는 왜자꾸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용점수가 높으면 더 낮은 금리로 더 많은 자금을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21/08/832786/일반적으로 신용점수 상승/하락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1. 신용점수 상승 요인- 대출금상환이력- 신용카드(체크카드 포함) 사용이력- 연체 대출금에 대한 상환- 통신/공공요금 성실납부 실적 등2. 신용점수 하락 요인- 대출금 연체- 신규대출 및 대출건수 증가- 제2금융권 대출- 현금서비스 이용 등또한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http://www.niceinfo.co.kr/creditrating/cb_score_1_4_1.nice또한 기사를 통해 나온 신용점수 관리 내용을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① 주거래 금융회사를 정해 한 곳에서만 거래하기“채무를 통합해 한 곳에서 관리하기 쉽다는 차원도 있지만, 급여통장·공과금 납부 등 여러 거래실적이 한 은행에 쌓이면 기존 2금융권 이용자라도 1금융권에서 대출이 가능한 경우가 생길 수 있다. 2금융권 대출을 이용하던 사람이 거래 실적을 잘 관리해 1금융권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당연히 신용점수는 상승한다.”② 소액 연체 만들지 않고 오래된 연체부터 정리하자“연체 기간이 오래된 것일수록 점수가 많이 깎인다. 반드시 오래된 연체부터 상환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액이라도 연체를 절대 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다. 주기적인 결제 대금은 자동이체를 걸어두는 것이 낫고, 상환 알림을 제때 받을 수 있도록 연락처 등이 변경되면 반드시 금융회사에 통보해야 한다.”③ 통신비·국민연금·건강보험료 등 성실납부 이력 등록하기“통신비·국민연금·건강보험료 등의 비금융정보도 신용점수에 반영할 수 있다. KCB·나이스신용평가 등 신용평가사나 서금원 애플리케이션(앱), 일부 핀테크 앱을 통해 공공요금을 장기간 성실 납부해왔다는 사실을 조회하고 나서 이를 직접 등록하면 가산점이 부여된다. 예로 KCB의 경우, 국민연금을 성실 납부한 기간이 36개월 이상이면 최대 41점까지 점수가 오를 수 있다.”④ 신용카드 한도는 30~50%만 쓰도록 하자“신용카드의 개수 자체는 신용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한도 안에서 어느 정도를 쓰느냐다. 한 달에 1000만원을 신용카드로 쓰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면, 1000만원 한도인 카드 하나를 가지고 꽉 채워 쓰는 것보다 카드 여러 개로 나누어 쓰는 게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