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2월 25일 작성 됨
Q.
원래 지구의 대륙은 하나였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의 겉모습을 이루고 있는 대륙과 바다의 분포는 지질시대 동안 끊임 없이 변화했습니다. 지금은 5대양 6대주라는 형태를 하고 있지만 고생대 말에는 대륙들이 하나로 뭉쳐 판게아라는 초대륙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이후 이것이 분리되고 이동하여 현재와 같은 수륙분포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판게아 이전에도 대륙은 합체와 분리를 거듭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판게아 이전의 초대륙은 로디니아, 콜롬비아 등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현재의 변화로 볼 때 약 2억 년 후에는 대륙들이 다시 하나로 뭉쳐 초대륙을 이룰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12월 25일 작성 됨
Q.
조작변인과 통제변인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변인은 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말합니다. 변인 중에서 어떤 요인이 실험에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고 싶을 때에는 다른 변인들은 동일하게 하고 알아보고 싶은 변인만 다르게 합니다. 이때 동일하게 하는 변인을 통제변인, 다르게 하는 변인을 조작변인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색깔에 따른 빛에너지 흡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할 때 온도계를 각기 다른 색의 천으로 덮는다고 하면 천의 종류, 질량, 두께, 빛의 세기 등을 동일하게 하고 천의 색깔만 다르게 해야합니다. 이 경우 천의 색깔이 조작 변인이고 나머지는 통제변인이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12월 25일 작성 됨
Q.
과학적 탐구방법중 귀납적탐구방법과 연역적 탐구방법의 차이점은?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귀납적 탐구방법과 연역적 탐구방법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설을 설정하는가 입니다. 귀납적 탐구방법은 가설을 세우지 않고 현상을 관찰한 후 결론을 내립니다.그에 반해 연역적 탐구방법에서는 문제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입증하여 결론을 내립ㄴㅣ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지구를 탈출 하려면 어느정도 속도가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를 탈출하려면 지구의 중력을 이겨내야 합니다. 현재 지구의 중력을 고려하면 지구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초속 11.2km 이상의 속력이 필요합니다.
전기·전자
2023년 12월 23일 작성 됨
Q.
노이즈캔슬링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노이즈 캔슬링은 능동적인 것과 수동적인 것의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능동적인 방법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음과 반대되는 파형을 가진 음파를 발생시켜 외부에서 들어오는 소음을 상쇄시키는 것입니다. 능동적 방법은 소음의 크기가 상당히 큰 경우인데 헬리콥터 조종사나 활주로 근무자들이 사용합니다. 수동적인 방법은 외부 소음이 들어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헤드폰이나 커널형 이어폰은 대부분 수동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능동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음악을 들을 때 음원 고유의 소리에 방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