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수성의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는 각각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수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가장 안쪽 궤도를 공전하고 있으며, 회합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는 지구의 1일을 기준으로 약 88일, 약 58일입니다. 공전 주기와 자전 주기의 관계는 2:3, 즉 2바퀴 공전하는 동안 3회 자전합니다.수성의 공전 궤 이심률은 0.21로 행성들 중 가장 큽니다. 수성의 공전 궤도 크기는 최소 4600만 km, 최대 7000km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태풍은 강도는 어떤 것이 기준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태풍을 분류할 때는 강도와 크기에 따라 구분합니다.강도는 풍속을 기준으로 구분하는데, 17m/s(61km/h, 34kt) 이상 ~ 25m/s(90km/h, 48kt) 미만은 강도 1로 구분합니다. '중(강도 2)'은 25m/s(90km/h, 48kt) 이상 ~ 33m/s(119km/h, 64kt) 미만, '강(강도 3)'은 33m/s(119km/h, 64kt) 이상 ~ 44m/s(158km/h, 85kt) 미만, '매우 강(강도 4)'은 44m/s(158km/h, 85kt) 이상 ~ 54m/s(194km/h, 105kt) 미만, '초강력(강도 6)'은 54m/s(194km/h, 105kt) 이상에 해당합니다. 크기는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km)인 강풍 반경을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소형'은 300km 미만, '중형'은 300km 이상~500km 미만, '대형'은 500km 이상~800km 미만, 초대형은 800km 이상에 해당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산사태가 일어나는 것도 예측이 가능한 영역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산사태는 빗물로 인해 무거워진 암반 위에 놓인 토양층이 암반과의 경계면을 따라 일시적으로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산사태가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 징후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작은 돌이 비탈면을 따라 떨어지는 경우, 비탈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작은 균열이 생기는 경우, 비탈면에서 흙탕물이 새어 나오거나 갑자기 멈추는 경우, 갑자기 새가 날아 오르고 나무가 흔들리거나 기울어진 경우 등입니다.땅울림이 있는 경우는 이미 지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신호이므로 산사태가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되는 방향을 피해서 이동해야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달이 하늘에서보다 지평선에서 평소보다 커보이는 현상은 어떤 방식으로 해석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물체의 크기는 눈과 물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보입니다. 같은 물체라도 가까이 있으면 크게 보이고, 멀리 있으면 작게 보입니다.달이 지평선에 있을 때의 거리는 천정에 있을 때보다 지구 반지름(약 6400km)만큼 더 멉니다. 그럼에도 달이 지평선 부근에 있을 때 더 크게 보이는 것은 착시 현상 때문입니다. 착시 현상을 설명하는 방식에는 2가지가 있는데, 하는 에빙하우스의 착시이고, 다른 하나는 폰조 착시입니다.에빙하우스의 착시는 같은 크기의 물체지만 주변에 있는 것들에 의해 크기가 달라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이에 따르면 달이 지평선에 가까울수록 비교할 만한 것들이 많아 커 보인다는 것입니다. 즉, 지평선에 가까워진 달이 산, 건물 등과 비교되어 상대적으로 커 보이고 하늘 높이 떠 있을 때는 비교 대상이 없이 없어 작아 보인다는 것입니다.폰조 착시는 선형 원근법에 따른 착시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철길의 철로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지만 멀어질수록 그 사이가 좁아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같은 크기의 물체라도 철길을 배경으로 한 사진 위에 얹어보면 가까이 있는 것은 멀리 있는 것에 비해 작아 보입니다. 또 다른 이론으로는 '겉보기-거리 이론'입니다. 우리 뇌는 먼저 물체가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물체의 크기가 달라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르면 우리 뇌는 지평선 근처의 달이 천정에 있는 달보다 더 멀리 있다고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지평선 부근의 달이 천정의 달보다 훨씬 멀리 있지만 더 크게 느껴지는 것은 우리 뇌가 달의 두 위치에 대한 거리를 다르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착시 현상 때문인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