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밤하늘 별을 관찰하고 싶은데 천체와 관측 방법 계절별 팁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밤하늘에서 천체를 관측하려면 계절별 별자리를 파악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은 대부분 3등성 이상이므로 서울에서도 어느 정도 육안 관측이 가능합니다. 요즘은 여름철에서 가을철로 넘어가는 시기이므로 여름철 별자리와 가을철 별자리를 모두 벌 수 있습니다. 초저녁부터 한밤중까지는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가 대표적인 여름철 별자리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백조자리의 데네브, 거문고자리의 베가, 독수리자리의 알타이르가 만드는 여름철 대삼각형이 잘 보입니다. 한밤중 이후에는 동쪽에서 올라오는 가을철 별자리를 볼 수 있습니다. 가을철 별자리는 페가수스, 안드로메다 등으로 이루어지며, 안드로메다 공주 전설과 엮어서 보시면 더욱 재미있을 겁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지구의 자전축이 왔다 갔다 하면은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현재 지구의 자전축도 변하고 있습니다. 자전축의 기울기는 현재는 23.5°이지만 약 41000년을 주기로 21.5°에서 24.5° 사이에서 변합니다. 지구 자전축 경사각이 증가하면 태양의 남중고도는 여름철에는 더 높아지고 겨울철에는 더 낮아져 기온의 연교차가 증가합니다. 자전축의 경사 방향도 약 25800년을 주기로 바뀌는데, 이를 세차운동이라고 합니다. 현재는 지구가 태양과 가까운 지점(근일점)에 있을 때 북반구는 겨울, 남반구는 여름이지만 25800년 후에는 근일점에서 북반구는 여름, 남반구는 겨울이 됩니다. 이렇게 되면 북반구는 기온의 연교차가 증가하지만 남반구는 반대로 감소합니다. 자전축 경사각의 변화와 세차운동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별개이지만 이들의 영향은 복합적으로 나타납니다. 이외에 지구 공전궤도 이심률도 변화하며, 이들 3가지 요인으로 인해 나타나는 변화의 주기는 약 10만 년입니다. 이 주기는 이를 밝혀낸 사람의 이름을 따서 밀란코비치 주기라고 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화성 소유권, 먼저 도착하는 국가가 임자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1967년 UN은 우주 조약을 만들어 국가와 기관이 달을 비롯한 행성을 소유할 수 없도록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미소 냉전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며, 소유할 수 없는 주체를 국가와 기관으로 한정하였습니다. 우주 조약에서는 개인의 소유에 대한 언급이 없었기에 개인의 소유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화성이나 달 등의 부동산을 거래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그곳에 도착해서 증빙을 하고 공증을 받아야 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고, 정확한 측량을 해야 하므로 실현 가능성은 없어 보입니다. 만일 화성의 땅을 구입했다고 해도 언제 개발할 지 모르기 때문에 실물로서의 가치는 없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흔히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광년은 어떤 단위를 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천문학에서는 거리를 나타내기 위해 여러 단위를 사용합니다. 천체 사이의 거리는 매우 멀기 때문에 지구에서 사용하는 km나 mile 등의 단위로는 나타내기가 어렵습니다.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1억 5천만km)를 1로 하는 '천문 단위(astronomical unit, AU)'입니다.광년(light year, LY)은 빛이 1년간 진행하는 거리를 말합니다. 빛의 속도가 초속 30만km이므로, 1광년은 약 9.5X10^12km입니다. 천문 단위로 나타내면 약 63,000AU에 해당합니다.파섹(parsec, pc)은 연주시차가 1"인 거리를 말하며, 1pc은 약 3.26광년에 해당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태양계 다른 행성들의 이름 끝은 모두 ~~성 으로 끝나는데 왜 지구는 그냥 지구로 표현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는 우리가 사는 곳이며, 땅으로 이루어진 공이라고 해서 지구(地球)라고 한 것이고, 다른 행성들은 밤하늘에 빛나는 별처럼 보이므로 '별'을 뜻하는 '성(星)'이 붙은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행성 중 아시아에서도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던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등 5개 행성의 이름은 5행에서 따온 것이고, 이후에 발견된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은 외국 명칭을 번역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