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고대 마야 문명의 천문학 지식이 현대 연구에서 다시 주목받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마야 문명의 천문학은 중세 유럽보다 이른 시기에 태양, 달, 행성, 은하수 등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이들은 달의 운동을 정밀하게 관측하여 회합월의 길이를 프톨레마이오스보다 정확하게 찾아냈습니다. 태양년의 경우는 당시의 유럽에서 구한 것보다 훨씬 정확했습니다. 이들이 계산한 1태양년은 365.2422일로 현재의 365.2422일과 오차가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은 1태양년과 약 27초 차이가 나지만, 마야력의 1태양년은 실제 1태양년과 1.1초 차이가 납니다. 정밀한 관측 기기가 없음에도 이토록 정교한 관측을 해낼 수 있었던 사실들에 주목할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베텔기우스는 왜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알려진 별이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오리온자리는 베텔게우스, 리겔 등 여러 개의 별로 이루어진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눈에 잘 띄는 별은 8개입니다. 별자리 중에서 별의 겉보기 밝기를 기준으로 가장 밝은 별을 알파(α), 그 다음을 베타(β), 감마(γ) 등 그리스 알파벳 순서대로 부여합니다. 베텔게우스는 오리온 자리의 알파별(0.5)이지만 겉보기 등급이 가장 밝은 별은 리겔(0.12)입니다. 베텔게우스의 색은 붉은색이므로 우리 눈에는 리겔보다 밝게 보이기 때문에 알파별이 된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사건의 지평선" 은 어떻게 붙어진 이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사건 지평선(event horizon)은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입자가 시공간의 무한대로 탈출할 수 없는 구역의 경계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그 내부에서 일어난 사건이 그 외부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경계면이 사건의 지평선입니다. '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실제 선이 아니라 '면'이라고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블랙홀의 바깥 경계 즉, 블랙홀 주위를 말합니다. 블랙홀의 경우 외부에서는 물질이나 빛이 안쪽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지만, 내부에서는 블랙홀의 중력에 의한 붕괴속도가 탈출하려는 빛의 속도보다 크므로 내부로 들어온 물질이나 빛은 사건의 지평선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됩니다. 이 용어는 1950년대 볼프강 린들러가 만들었으며, 우주의 팽창으로 인해 미래 어느 시점에서 외부 우주와 상호작용이 불가능해지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 카세그레인 계열 망원경의 근본적인 설계 방식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의 차이는 빛을 모으는 대물렌즈로 어떤 것을 사용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굴절망원경은 볼록렌즈를 사용하고, 반사망원경은 오목거울(포물경)을 사용합니다. 반사망원경은 오목거울로 모은 빛을 접안렌즈로 보내는 부경의 차이에 따라 뉴튼식과 카세그레인식으로 나눕니다. 뉴튼식은 부경으로 평면 거울(사경)을 사용하고 카세그레인식은 포물경을 사용합니다. 이 부경의 차이로 인해 접안렌즈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뉴튼식은 대물렌즈로 모은 빛을 사경을 이용하여 직각으로 꺾어 경통의 옆부분로 나오도록 합니다. 따라서 뉴튼식의 접안렌즈는 경통의 옆쪽에 있고, 이로 인해 망원경이 향하는 방향과 관측자의 위치가 직각이 됩니다. 카세그레인식은 포물경을 사용하므로 180도 방향으로 보내므로 관측자의 위치가 망원경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