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진 예측 연구에서 인공지진파 탐지가 활용되는 구체적인 방법은?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인공지진파 탐지는 폭약 등으로 인공으로 지진을 발생시켜 지하의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지하 물질의 상태나 구조 등을 파악하여 지진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곳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진 발생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현대의 과학으로도 불가능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고대 마야 문명의 천문학 지식이 현대 연구에서 다시 주목받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마야 문명의 천문학은 중세 유럽보다 이른 시기에 태양, 달, 행성, 은하수 등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이들은 달의 운동을 정밀하게 관측하여 회합월의 길이를 프톨레마이오스보다 정확하게 찾아냈습니다. 태양년의 경우는 당시의 유럽에서 구한 것보다 훨씬 정확했습니다. 이들이 계산한 1태양년은 365.2422일로 현재의 365.2422일과 오차가 거의 없을 정도입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은 1태양년과 약 27초 차이가 나지만, 마야력의 1태양년은 실제 1태양년과 1.1초 차이가 납니다. 정밀한 관측 기기가 없음에도 이토록 정교한 관측을 해낼 수 있었던 사실들에 주목할 수 밖에 없는 이유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강원도 강릉시만 물이 부족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강원도 동해안 지역은 태백산맥으로부터 해안까지 거리가 짧아 하천의 유속이 빠르고 유량이 충분하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수자원이 부족한 것입니다. 이를 보완하고자 댐이나 저수지 등을 설치했지만 댐이나 저수지의 물을 제때에 방류하지 않아 녹조현상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물이 되어 버렸습니다. 일례로 도암댐의 경우 발전을 위해 건설되었지만 발전을 멈춘 후 그냥 방치해 놓은 상태여서 사용할 수 없는 물이 되었습니다. 방류에 따른 문제가 있기도 하겠지만 방류하지 않은 채 버티는 것은 더 큰 문제를 가져올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휴화산이 활화산으로 바뀌는 것은 어떤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일단 휴화산(休火山)은 현재 분화를 멈추고 잠정적으로 활동이 중단된 화산을 말하던 용어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과거에는 역사상 분화한 기록은 있으나 현재 활동하지 않는 화산을 휴화산이라고 했으나 현재는 활화산과 사화산으로만 구분합니다. 휴화산이든 사화산이든 지하에서 마그마방(magma chamber)이 만들어지면 언제든 분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즉, 지하에 활동적인 마그마방이 존재하느냐에 따라 휴화산이든 사화산이든 언제든 활화산이 된다는 것입니다. 마그마방이 만들어지는 것은 맨틀로부터의 뜨거운 플룸에 의할 수도 있고, 지각에 틈이 생겨 다른 곳에 있던 마그마가 이동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베텔기우스는 왜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알려진 별이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오리온자리는 베텔게우스, 리겔 등 여러 개의 별로 이루어진 겨울철의 대표적인 별자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눈에 잘 띄는 별은 8개입니다. 별자리 중에서 별의 겉보기 밝기를 기준으로 가장 밝은 별을 알파(α), 그 다음을 베타(β), 감마(γ) 등 그리스 알파벳 순서대로 부여합니다. 베텔게우스는 오리온 자리의 알파별(0.5)이지만 겉보기 등급이 가장 밝은 별은 리겔(0.12)입니다. 베텔게우스의 색은 붉은색이므로 우리 눈에는 리겔보다 밝게 보이기 때문에 알파별이 된 것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건의 지평선" 은 어떻게 붙어진 이름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사건 지평선(event horizon)은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입자가 시공간의 무한대로 탈출할 수 없는 구역의 경계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그 내부에서 일어난 사건이 그 외부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경계면이 사건의 지평선입니다. '선'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실제 선이 아니라 '면'이라고 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블랙홀의 바깥 경계 즉, 블랙홀 주위를 말합니다. 블랙홀의 경우 외부에서는 물질이나 빛이 안쪽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지만, 내부에서는 블랙홀의 중력에 의한 붕괴속도가 탈출하려는 빛의 속도보다 크므로 내부로 들어온 물질이나 빛은 사건의 지평선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됩니다. 이 용어는 1950년대 볼프강 린들러가 만들었으며, 우주의 팽창으로 인해 미래 어느 시점에서 외부 우주와 상호작용이 불가능해지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굴절망원경, 반사망원경, 카세그레인 계열 망원경의 근본적인 설계 방식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굴절망원경과 반사망원경의 차이는 빛을 모으는 대물렌즈로 어떤 것을 사용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굴절망원경은 볼록렌즈를 사용하고, 반사망원경은 오목거울(포물경)을 사용합니다. 반사망원경은 오목거울로 모은 빛을 접안렌즈로 보내는 부경의 차이에 따라 뉴튼식과 카세그레인식으로 나눕니다. 뉴튼식은 부경으로 평면 거울(사경)을 사용하고 카세그레인식은 포물경을 사용합니다. 이 부경의 차이로 인해 접안렌즈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뉴튼식은 대물렌즈로 모은 빛을 사경을 이용하여 직각으로 꺾어 경통의 옆부분로 나오도록 합니다. 따라서 뉴튼식의 접안렌즈는 경통의 옆쪽에 있고, 이로 인해 망원경이 향하는 방향과 관측자의 위치가 직각이 됩니다. 카세그레인식은 포물경을 사용하므로 180도 방향으로 보내므로 관측자의 위치가 망원경이 향하는 방향과 일치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기후 위기로 북극의 빙하가 녹을 경우 해수면 상승이 인류 사회에 주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북극의 빙하가 녹을 경우는 2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북극해에 떠있는 빙산들이 녹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물이 든 컵 안에 있는 얼음이 녹아도 컵 안의 물이 넘치지 않는 것처럼 해수면 높이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둘째는 북극권에 있는 그린란드 등 육지에 있는 빙하가 녹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는 컵 바깥에 있는 얼음이 녹은 물이 컵 안으로 들어오는 것과 같아서 컵 안의 물이 넘치게 됩니다. 즉 육지의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상승합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납니다. 가장 큰 문제점은 주거지와 농경지의 대부분이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전세계 인구의 절반 정도가 해발고도 100m 이내에 거주하고, 농경지의 대부분도 해발고도가 낮은 곳에 위치합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주거지와 농경지의 많은 부분이 사라지게 됩니다. 식량생산에 큰 차질이 생겨 식량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새로운 주거지와 농경지를 만들기 위해 삼림이 파괴된다는 것입니다. 삼림의 파괴는 산소 발생원을 없애는 것보다 이산화탄소 흡수원을 사라지게 하는 것이므로 지구 온난화를 가속시키는 셈이 됩니다. 이에 따른 비용은 얼마가 들 지 예측하기도 어렵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평균기온 1.5도 상승까지 3년이 남았다고 하는데 그 기준점은 언제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온난화에 대한 기온 상승의 기준연도는 산업화 이전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산업혁명이 일어나기 전후인 1850~1900년의 평균기온을 기준으로 삼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는1년의 절기를 24절기로 나뉘어 졌는데 이러한 절기는 언제부터 시행이되었는지가 궁금 하여 질문을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24절기는 중국에서 유래했습니다. 중국에서는 약 2000년 전 태양의 운동을 기준으로 한 역법이 만들어졌고 태양이 움직이는 길인 황도를 24등분하여 각각에 맞는 절기를 부여했습니다. 태양은 농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절기 이름에는 농사와 관련된 것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중국과 우리는 위도가 달라 농사 시기에 조금 차이가 있어 우리 형편에 딱 들어맞지는 않았기에 우리 형편에 맞게 변형되었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