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은 어떤 것인가요?
목성의 반지름은 69,911km로 지구(6,400km)의 약 11배이며, 부피는 약 1,300배입니다. 그러나 밀도가 작아서 질량은 지구의 약 318배 정도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오로라를 볼 수 있는 지역이 극지방인 이유?
오로라(aurora)는 태양에서 방출되는전기를 띤 입자(전자 또는 양성자)가 지구의 대기권 상층부의 자기장과 마찰하여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 이들 입자는 태양풍을 따라 지구 근처에 왔다가 지구의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진입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기장이 밀집된 자극에 가까운 북반구와 남반구의 고위도 지방, 즉 극지방에 가까울수록 관측이 쉽습니다. 우리나라의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서도 오로라라고 할 수 있는 현상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서기 34년에는 백제(다루왕 7년)에서, 182년에는 고구려(고국천왕 4년)에서 관측되었다고 나옵니다. 자극이 이동하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자북극이 어디에 위치하는가, 태양풍의 세기가 얼마나 강한 가에 따라서 볼 수 도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총중량은 어떤 방식으로 측정한건지 궁금합니다.
지구가 워낙 크고 지구를 달아볼 수 있는 저울도 없기에 지구의 질량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지구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뉴턴이 발견한 만유인력의 법칙을 이용합니다.1798년 영국 과학자 헨리 캐번디시는 막대의 가운데를 실로 매단 뒤 양 끝에 납으로 된 작은 공(질량 Mp)을 붙였다. 이 때 금속 공을 작은 공에 가져가면 거리에 따라 인력이 달라져 막대가 흔들린다. 만유인력의 법칙은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고 질량의 곱에 비례하므로, 각 공의 질량과 둘 사이의 거리, 지구 중심으로부터 표면까지 거리를 알면 지구의 질량(Me)을 구할 수 있다. 1881년 프랑스의 욜리(Jolly)는 캐번디시와는 비슷한 방법으로 양팔 저울의 한쪽 아래에는 커다란 추를 놓고 다른 쪽에는 이와 평형을 맞추도록 작은 추를 올려 놓아 지구의 질량을 구했습니다. 지구의 질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물체의 질량과 거리, 그리고 그 물체가 지구에 끌리는 중력 가속도를 측정한 후, 케플러 제3법칙(조화의 법칙)을 이용하여 지구의 질량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보통 지구 주위를 공전하는 인공위성의 궤도를 이용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됩니다.현재 지구의 질량은 대략 5.97 x 10²⁴ kg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값은 인공위성의 궤도를 이용한 다양한 측정 결과를 종합한 값으로, 상대적으로 정확한 값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