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주 관측 시 항성의 분광형의 따른 분류는 무엇을 의미하나?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항성의 분광형은 항성의 표면온도를 알려줍니다. 분광형은 O, B, A, F, G, K, M 등 7가지로 분류됩니다. O형은 푸른색으로 표면온도는 약 50000K, B형은 청백색으로 표면온도는 약 25000K, A형은 백색으로 표면온도는 약 10000K, F형은 황백색으로 표면온도는 약 7000K, G형은 노란색으로 표면온도는 약 6000K, K형은 주황색으로 표면온도는 약 5000K, M형은 적색으로 표면온도는 약 3500K입니다. 각 분광형은 표면 온도가 높은 것부터 낮은 것까지 0~9의 10단계로 구분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2025년 5월 28일 대구에 기습폭우가 내렸다는데 얼마나 온건가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5월 28일 대구와 경산지역에 갑작스럽게 쏟아진 우박과 폭우로 인해 도심 곳곳이 정전과 침수 등 피해를 입었습니다.대구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강수량은 대구 22.5㎜, 경산 33.5㎜로 기록되었습니다.폭우로 인해 엘리베이터 갇힘 사고, 도로 및 지하도 침수, 전신주 이상으로 인한 정전 등의 사고가 발생했습니다.폭우의 기준은 시간당 30mm 이상 또는 하루 80mm 이상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진은 왜 특정지역에서는 더 자주 일어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질학자들은 지구의 표면이 크고 작은 10여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판들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판의 경계에서 지진이나 화산 활동 같은 지각 변동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판의 경계에는 발산형, 수렴형, 보존형 등 3가지가 있습니다. 판의 경계를 따라 지진이나 화산 활동 등이 일어나므로 판의 경계를 지진대(seismic belt) 또는 화산대(volcanic belt)라고 합니다. 이 중 지각 변동이 가장 활발한 곳은 수렴형 경계, 특히 한 판이 다른 판의 아래로 섭입하는 서입형 경계입니다. 섭입형 경계는 해양판이 관련되어 있으며, 섭입형 경계가 있는 곳에는 좁고 깊은 골짜기 모양의 해구(trench)가 발달합니다. 일본을 비롯한 태평양 주변은 대부분 해구로 이루어져 있어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납니다. 태평양 주변을 환태평양(circumpacific) 지진대 또는 환태평양 화산대, 불의 고리(ring of fire)라고도 합니다.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지진의 80% 이상이 태평양 주변에서 일어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