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
경동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눈에 보이는 별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별까지의 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멀기 때문에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를 따로 사용합니다. 별까지의 거리를 표시하는데 사용하는 단위로는 광년(ly)과 파섹(pc)이 있습니다.1광년은 빛이 1년간 진행하는 거리입니다. 빛은 1초에 약 30만km를 이동하므로 1광년을 km로 환산하면 약 9.5×10^12km가 됩니다.1파섹은 시차가 1"에 해당하는 거리이며 1파섹은 3.26광년에 해당합니다.지구 또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별까지의 거리는 약 4.3광년이고, 잘 알려진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는 약200만 광년입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오늘 슈퍼문이 뜬다고 하는데 슈퍼문은 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 주위를 타원궤도를 따라 공전하는 것처럼 달도 타원궤도를 그리며 지구 주위를 공전합니다. 따라서 지구와의 거리가 수시로 변합니다.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를 근지점, 가장 멀리 있을 때를 원지점이라고 합니다. 달이 근지점에 있을 때 보름달이 되면 슈퍼문, 원지점에 있을 때 보름달이 되면 미니문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만약 지구가 무중력 상태라면 사람이 살아갈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지구가 무중력 상태라면 사람이나 생물은 살 수 없습니다. 현재 지구에서 생물이 살 수 있는 것은 공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공기는 질량을 가진 물체이므로 지구의 중력에 의해 지구에 붙잡혀 있는 것입니다. 만일 지구가 무중력 상태가 된다면 공기를 잡아둘 힘이 없어지는 것이므로 공기는 모두 우주 공간으로 흩어져 나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사람은 뮬론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게 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 태양보다 더 밝은 빛을 발산하는 행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행성은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로 스스로 빛을 내지 않습니다. 스스로 빛을 발산하는 천체는 항성입니다. 항성이 발산하는 에너지는 광도라고 하며, 표면온도가 높을수록, 반지름이 클수록 큽니다(표면온도의 4제곱, 반지름의 제곱). 항성은 표면온도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O형부터 가장 낮은 M형까지 7개 그룹으로 구분하는데, 태양은 5번째인 G형입니다. 광도는 항성의 표면온도의 4제곱에 비례하므로 두번째인 B형 별의 경우 표면온도가 태양보다 약 4배 높으므로 태양과 같은 크기라고 해도 4^4=256배나 밝은 별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태양이 속한 주계열의 경우 표면 온도가 높은 별일수록 반지름도 크므로 실제 광도는 훨씬 더 큽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의 온도는 얼마나 뜨거운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전문가입니다.현재 태양은 표면온도는 약 5800K, 중심핵의 온도는 약 1500만K로 알려져 있습니다.항성은 표면온도에 따라 7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는데, 표면온도가 가장 높은 것부터 O, B, A, F, G, K, M으로 나누고, 각각의 그룹은 다시 0~9까지 나눕니다. 태양은 표면 온도가 약 5800K로 G2에 속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868788899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