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원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전문가입니다.
이원태 전문가
DB손해보험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보험
자격증
의료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보험공단 본인부담상한액 실손보험회사에 돌려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돌려주는것이 맞습니다 안돌려주고 그냥 있는사람도 있습니다만 그렇게 되면 다음번 보험금 청구때 제대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대법원 판결로 초과된 의료비는 실손보험에서 지급하지 않아도 된이후 이예 청구금액이 많으면 건강보험료 납부내역서를 요구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디
저축성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국민연금을 현재 낸금액의 2배를 내야하는데국민연금으로 노후를 준비해는게 맞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국민연금은 납부를 계속해야 합니다 지금은 미납되면 독촉을 하다가 압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직장가입자는 급여에서 공제되며 지역가입자로 가입을 하였어도 납입은 해야하며 그래도 노후에는 국민연금이 도움이 됩니다 물론 미래세대들은 기금고갈이라는 문제로 생각이 많겠지만 그래서 개혁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상해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보험관련 해서 설계사 실수로 보험금 수령이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일단 보험사에 민원을 제기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번건만 청구를 포기하면 되는건지 유지가 되어 다음에는 청구할 수 있는지 확실하게 알아 보시기 바랍니다
상해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상해를 입어서 병원 치료를 하는데 그 기간이 길어지는데 기간은 어느정도까지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보험금청구는 3년이내에만 하시면 됩니다 치료 도중에 일부청구하여 보상을 받고 또 치료후 추가의료비를 청구하면 됩니디
상해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TV에 보험광고가 너무 많이 나오는거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설계사들도 지인들이나 고객들이 물어와서 설명하고 답하느라 힘듭니다 일일이 담보에 대한 설명은 없고 크게만 하니 고객들은 막상들가입하고나서 아니라고 하는분들도 많습니다 광고하는 보험사나 방송사쪽에서는 나름 이유가 있을겁니다
의료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실손보험 비례보상 실제사례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설계사들도 중복보상의 경우에는 양쪽 약관을 참고해야 알 수 있습니다 막연하게 아직 수술도 안했고 나오지도 않은 의료비를 어떠할것이다라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비례보상은 사용한 의료비를 나누어서 각각의 실비의 약관에 따라 계산하여 보상합니다 200만원면 각 보험사에서 100만원씩해서 본인부담금 공제후 보상 합니다
저축성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보험 판매 설계사 그만둔지 오래됬는데 환수 무조건 뱉어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환수조치된 금액은 납입해야 합니다 혹시 보증보험을 가입했다면 보증보험사에서 그 금액을 보험사로 납입하고 본인에게 구상권으로 다시 환수 들어옵니다 통장압류까지 할 수도 있습니다 이미 떠나온 자리 마무리 잘 되기를 바랍니다
의료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건강보험료가 갑자기 훅 올랐는데 어떤 이유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전년도 소득금액의 변동이 있었거나 재산의 증가가 있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 인상율이 반영 되었을 수는 있으나 너무 많이 인상 되었다면 공단에 확인을 해보는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소명할 수 있으면 서류를 제출하고 소명하면 됩니다
재산 보험
2024년 11월 24일 작성 됨
Q.
전세보증보험은 어떤 보험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전세보증보험은 주로 서울보증보험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보험료는 1년에 보증금액의 0.115%~1.154% 정도의 보증료가 발생 합니다 2억원의 보증금의 경우 보통 23만원~30만원 정도의 보험료가 발생합니다
저축성 보험
2024년 11월 23일 작성 됨
Q.
신규부과자료 보험료 변동으로 보험료가 10배가까이 올랐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지난해에 소득이 많이 발생해서 그렇게 부과가 된것 같습니다 공단에 방문하여 그동안 소득이 없었다는걸 증명하면 될 수도 있습니다 보통 다른 회사에 잠깐 일하고 받은 소득으로 보험로가 부과되는 경우 퇴직증명서를 제출하고 소명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446
447
448
449
4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