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현대문학에서 참여적인 경향은 언제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경우 순수문학에서 공리주의적 참여적 문학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대두되었던 것은 419혁명과 516군사정변을 거치면서가 아닐까 싶습니다. 현실이 피폐해지니 작가들이나 평론가들이 현실문제에 문학이 어떻게 역할을 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였던 시기가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당시 유명했던 이어령, 김우종, 유종호, 김병걸 등이 순수문학의 허구성과 위선을 지적하며 현실과 민중의 어려움을 외면하는 순수문학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당시 그에 반대하고 순수문학의 지지했던 이들도 있습니다. 이에 1960년대부터 참여문학이 대두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우리나라 고전 소설 중에서 1인칭 시점의 소설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4천년 전 이집트의 고전소설 중에서는 최소의 소설이라고 여겨지는 가 1인칭 사실주의 소설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고전소설 중에서는 이 있는데 이것은 전체적인 구조는 액자식 구성으로 전지적 시점을 보이고 있는데 그 액자 내부는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여성서술자가 이야기합니다. 몽유록 형식과 애정 전기를 주제로 담고 있습니다. 20세기 근현대소설 중에서는,1인칭 주인공 시점의 소설은 김유정의 , , 이상의 , 염상섭의 이 있고, 1인칭 관찰자 시점의 소설은 김동리의 , 주요섭의 , 김동인 , 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