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화공생명공학을 전공
화공생명공학을 전공
이정수 전문가
가천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극지방에서 관측되는 오로라가 다양한 색깔로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색이 다양하게 보이는 것은 가시광선 영역에 해당하는 빛의 색(흔히 무지개색) 때문입니다. 입자들이 지구 대기와 부딪히고 대기가 받은 에너지를 빛의 형태로 방출한다고 하셨는데, 이 때 받는 에너지의 양에 따라 다양한 파장의 가시광선들이 나타나게 되고 이 파장에 맞는 영역의 가시광선 영역의 빛이 나오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앵무새는 자기가 한 말의 뜻을 알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앵무새는 지능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똑똑한 앵무새는 사람으로 비유하면 5~7살 정도의 지능을 가진다고 과학적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앵무새들은 사람의 말을 듣고, 특정 단어가 어떠한 상황에서 쓰이는지 이해한 상태에서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화학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전을 부쳐먹다 문득 궁금한 점이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의 끝부분은 그 부분과 안쪽 부분만이 존재하고, 안쪽지점은 주위가 다른 반죽으로 둘러싸여있기 때문에 같은 열을 가하더라고 끝부분은 반죽양이 적어서 더 잘 익게 되는 것입니다. 안쪽 부분은 반죽양이 많아서 굽더라도 바싹 익히려면 더 오랜시간 가열해야 하는 것이지요.전을 바삭하게 드시고 싶다면 작게 만드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만약 방귀를 뀐다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체는 보통 확산하고자 하는 성질이 있으나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서는 사람의 항문에서 나온 힘만이 작용하기 때문에 방귀가 나온 방향으로 기체가 퍼질것으로 보입니다. 지구에서는 방귀 냄새가 주위로 다 퍼져서 흩어져 냄새가 약해지지만 우주에서는 주위로 확산하지 않고 한방향으로 나아가기 때문에 냄새는 방귀가 모여있는 지점에만 머물러 있게 됩니다.
물리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물이 끓어 넘치려는 냄비에 젓가락 같은 것을 올려두면 넘치지지 않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이 팔팔 끓어 넘치기 전에 물을 살짝 붓거나 젓가락을 안에 넣어두는데 그 이유는 열흡수를 위해서 입니다. 물이 끓어 넘치는 이유는 아랫 부분에서 열을 받아 수증기로 기화된 물이 위로 빠져나가야 하는데 냄비 뚜껑을 닫아두면 압력이 높아져서 원래는 100도에서 기체가 되지만 그 이상의 온도에서 기체가 되게 됩니다(압력이 높아져서 기화점이 높아진 현상)따라서 갑자기 뚜껑을 열게되면 압력이 낮아지고 이는 원래 100도에서 수증기가 되는 원상태로 돌아오고 이 시점에서 순식간에 많은 물이 기화되기때문에 끌어 넘치게 됩니다. 젓가락을 올려두는 이유는 열을 흡수해줘서 순식간에 끓어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엔트로피의 개념과 열역학에서의 중요성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엔트로피란 개념은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자연은 무질서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상태라는 사실입니다.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무질서한 정도가 커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이는 열역학에서 안정한 상태라고 말합니다. 간단한 비유를 하자면 얼음이 있을 때 얼음이 녹아 물이되어 주변으로 퍼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만약, 얼음이 녹지 않고 상태가 유지되려면 주변의 열을 낮춰야하는(0도 이하로 유지해야 하는) 추가적인 일(에너지)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얼음이 녹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이는 열역학에서 안정한 상태라고 말합니다.
생물·생명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아이들 성장 호르몬 과 잠자는 시간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성장호르몬이 오후 10시에서 오전 2시 사이에 나온다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이 때 자는것도 좋지만 중요한 것은 성장판에 대한 적절한 자극과 충분한 수면 시간이라고 봅니다. 아무리 일찍 자더라도 제대로 자지 못하거나, 잠만 잔다고 해서 성장이 크게 촉진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오후 10시 즈음에 수면을 취하는 것은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화학
2023년 6월 27일 작성 됨
Q.
후쿠시마 오염수 많이 위험하지 않은지?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오염수 방류를 둘러싸고 여러 문제가 많이 드러나고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오염수 버리는 총량이 명확하게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이지요. 아무리 바다가 총량이 크더라도 계속 오염수를 버리게 되면 결국에는 심각하게 오염되고 이는 바다에서 나오는 것을 먹지 못하게 됩니다. 또한, 알프스로 오염물질이 처리된 물이더라도 현재 삼중수소가 제거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 또한 인체에 축척되었을 시 어떠한 문제가 나타날지 모를 일입니다. 그리고 알프스 기계 자체도 1년에 8차례정도 고장났었다는 사실이 있기 때문에 오염수를 지속적으로 제거해야하는 상황에서 제대로 제거 되지 않고 방류된다면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종합해보자면, 해양생물의 오염으로 식량난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결국 독을 먹는 선택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해양생물이 물고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소금 등은 어느곳에나 쓰이기 때문에 더 큰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두서없이 적었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18일 작성 됨
Q.
빛의속도보다 더 빠른건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공식적으로 밝혀진 빛보다 빠른 물질은 없습니다. 현재도 계속해서 조사하고 있으나, 아직까진 발견된것이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6월 7일 작성 됨
Q.
지구온도가 올라가면 어떤부작용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적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가 도시의 침수, 온도 상승에 따른 기후 변화가 나타나고 이에 따라 생태계의 변화 및 생물의 대멸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극심한 온도차에 따른 가뭄, 폭우 등의 강도와 횟수가 더 크게 증가합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