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화공생명공학을 전공

화공생명공학을 전공

이정수 전문가
가천대학교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이라는 것이 강철보다 강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통칭 유리섬유강화플라스특에 대해 물어보셨네요. 이는 플라스틱에 유리 섬유를 섞어서 만든 특수 고분자 물질입니다. GFRP는 종류가 굉장히 다양합니다. 모든 GFRP가 강철보다 강하지 않고 이 중 일부가 강철보다 더 나은 물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드는 과정은 플라스틱을 뽑아내는 과정에서 일부 유리를 첨가하는 것입니다. 이 때 유리를 얼마나 함유시키냐, 어느 온도에서 얼마나 오랜 시간동안 믹싱(mixing)해주냐에 따라 물성에 크게 달라지게 됩니다.GFRP가 일상에서 사용되는 예시를 알려드리면 케리비안베이에서 타는 물미끄럼틀이 보통 GFRP로 만들어집니다. 워낙 다양하게 활용되어서 검색하시면 더 많은 종류에 대한 사진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국제우주 정거장은 항상 제자리에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 정거장은 지구의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제로는 조금씩 추락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구 주위를 회전하면서 생기는 원심력(회전하는 물체가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이러한 중력을 상쇄시켜서 위치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람이 우주 공간에 노출되면 순간적으로 얼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의 온도는 영하 270도에 육박하는데요 이론적으로 원자가 움직이지 못하는 절대온도 0K(-273.15도)와 불과 3도차이 이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얼어버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처럼 다른 위성들도 생겨난 이유를 모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생성된 방식에 대해서 아직까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미스테리로 남아있습니다. 가장 큰 가설은 지구가 생성될 때 동시에 생성되었다는 설과 지구가 생성될 때 운석 등의 충돌로 떨어진 파편이 뭉쳐져 달이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과학중 태양의 자전주기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 태양의 적도 자전 주기는 약 27일이고 북위 30도는 약 28일로 위도가 높을수록 자전속도가 느려지는 자전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태양의 자전 주기가 위도에 따라 다른 이유는 태양이 지구와 같은 고체가 아닌 플라즈마로 이루어진 항성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전을 하더라도 모든 위치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전 주기에 차이가 발생합니다.자전하는 흔한 증거로는 태양의 흑점이 일정 주기로 위치가 바뀐다는 것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왜 우리는 지구가 자전하는 것을 느끼지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지구의 자전 속도는 매우 빠른데 저희가 못느끼는 이유는 중력의 영향이 큽니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지구상의 물체들은 지구 밖 방향으로의 원심력을 받게 되는데요 이를 상쇄시키는 힘이 중력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느끼지 못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종은 피부색으로 구분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인종을 구분할 때 겉으로 드러나는 큰 특징들로 구분하기도 하지만, 유전자 서열에서 특정 인종만이 가진 염기서열을 통해 구분하기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서 대변,소변은 어떻게 보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따로 흡입하는 장치가 있어서 연결된 관을 통해 변을 봅니다. 보통 진공압축되어서 따로 모아두므로 떠다니는 문제는 크게 없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이산화탄소를 다른 물질로 변환할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화학을 배우셨다면 이산화탄소가 CO2라는 것을 아실텐데요. 물론 상업적으로 유용한 화학반응을 이용해서 이산화탄소를 다른 물질로 바꿀 수는 있으나, 이렇게 반응시키는 과정에서 더 많은 에너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온실기체를 줄이려고 하는데 오히려 열을 더 많이 발생시키는 모순이 발생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현재는 CO2 발생원 자체를 줄이고, CO2를 자연적으로 줄여주는 숲을 많이 조성하고, 매연가스를 발생시키는 내연자동차 대신 물이 부산물로 나오는 전기자동차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고무줄은 어떤 재질로 만들어서 늘어나는 성질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정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무는 흔히 말하길 대표적인 고분자 물질입니다.고분자라는 것은 특정 단위가 되는 분자들이 길게 연결되어 있는 형태라고 보시면됩니다. 이러한 고분자들 중 고무 계열은 탄성을 가지고 있어서 힘을 주면 그 방향으로 정렬되며 늘어나고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