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조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조은 전문가입니다.
이조은 전문가
세종특별자치시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1월 5일 작성 됨
Q.
하늘이파란이유를 과학적으로증명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대기의 구성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는 질소 때문인데요 빛이 질소와 만나면 푸른 빛을 반사시켜 우리 눈에 그렇게 보이는 겁니다. 빛은 물체에 반사되어 가시광선 형태로 우리눈에 보이는게 이 원리의 핵심입니다.
2023년 1월 5일 작성 됨
Q.
무지개는 왜 생기나요?색깔은왜다르나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면 대기 중에 수분이 가득하고 빛이 그 수분이 가득한 곳을 지나면서 여기저기로 퍼집니다. 이걸 빛의 산란이라고 하는데요. 이때문에 무지개가 생기고 색이 다른이유는 가시광선의 빛의 파장이 각기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빨주노초파남보의 색으로 길이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것이죠.
2023년 1월 5일 작성 됨
Q.
비오는 날 무지개는 어떻게 생겨날까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빛의 산란으로 파장의 길이에 따라 빨주노초파남보의 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수분이 풍부한 상태에서 빛이 수분과 만나서 생기는 현상이죠.
2023년 1월 4일 작성 됨
Q.
소금쟁이는 어떻게 물 위에 뜰 수 있는가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표면장력 때문입니다. 물분자가 물을 끌어당기려는 힘인데요. 몸이 가벼운 소금쟁이가 최대한 다리를 넓게 분포해서 무게를 최소화하고 물이 닿는 다리부분에는 빼곡한 털을 활용해 물과 닿는 부분을 최소화하는 것이지요. 쉽게 말해서 물끼리 뭉치려는 힘보다 소금쟁이가 무르는 힘이 약해서 물에 뜰 수 있는 겁니다. 물끼리 뭉치려는 표면장력의 비슷한 예로는 풀잎위에 떨어진 물방울을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 3일 작성 됨
Q.
지구의 구 같은 모양인데 왜 우리는 평평하다고 느끼나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너무 넓어서 그렇습니다. 하늘도 구의 형태인데 천장은 평평하다고 생각해 보통 타원형태로 인식하구요. 바닥도 우리가 밟고 있는 평평한 부분이 영원히 이어질 것처럼 생각하죠. 쉽게 테니스공에 붙은 개미를 생각해 보시면 됩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