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조은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조은 전문가입니다.
이조은 전문가
세종특별자치시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12월 15일 작성 됨
Q.
주변에서 산성비에의한 피해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산성비는 황산 등의 산성물질에 오염된 비를 뜻하는데요. 피해로는 토양의 산성화로 식물이 자라지 않고 강과 호수가 오염되면 물고기가 죽게됩니다. 그리고 철탑 등이 녹이 생기는 주원인이 되지요. 환경을 파괴합니다.
2022년 12월 15일 작성 됨
Q.
비행기는 어떤 월리로 움직이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는 크게 4가지 힘의 상호작용으로 비행을 하는데요. 엔진의 추진력, 공기의 저항력, 중력, 날개의 양력이 그 요소입니다. 우선 양력을 설명드리면 비행기 날개의 모양에 의해 비행기가 빠르게 달리면 날개 위의 공기 속도와 아래의 공기속도가 다르게됩니다. 위는 빠르고 아래는 느리고요. 이때 양력이 중력보다 쎄게 되면 비행기가 뜨는 겁니다.참고로 대형여객기의 경우 시속 270-350km를 달려야 뜰 수 있다고 해요.
2022년 12월 15일 작성 됨
Q.
아이스링크의 얼음은 어떤 원리로 녹지않나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간단하게 집에서 사용하는 보일러의 원리를 생각해 보면 쉽습니다. 보일러가 바닥에 배관을 깔고 뜨거운 물을 순환시켜 방을 데우는 원리인데요.마찬가지로 아이스링크장은 냉각배관에 부동액을 영하의 온도로 가동해서 얼음을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2022년 12월 15일 작성 됨
Q.
차가운 물이 얼때보다 뜨거운 물이 얼때 더 단단하게 언다?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는 이야기입니다.얼음을 만들 때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더 빨리 어는데 이걸 음펨바 효과라고 합니다.물은 수소원자와 산소원자의 공유결함으로 결합된 분자인데요, 물분자끼리는 수소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요. 이때 물의 온도가 높다면 물분자끼리 거리가 멀어지고 에너지를 갖고 있게 되죠. 이때 갑자기 차가워진다면 에너지가 순식간에 방출되고 얼음이 되는 겁니다. 그리고 추가로 뜨거운 물에는 공기방울 등의 불순물이 적어서 땡땡한 얼음이 만들어지는 거죠.
2022년 12월 15일 작성 됨
Q.
모든 벌레들은 나방의 단계를 거치나요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나방단계가 번데기단계라 판단하고 답변드리겠습니다.모든 곤충은 여러 단계의 변신을 하는데요. 알-애벌레-번데기-성충이 그 예입니다.위의 번데기 과정을 거치는 곤충은 애벌레와 성충의 모습이 확연히 다릅니다. 예로 나비를 들 수 있겠죠.이와 상충되는 것으로 알-애벌레-성충의 단계를 거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애벌레와 성충의 모습이 비슷하고 날개나 생식기 정도만 생기는 경우죠, 그 예로 메뚜기, 여치, 사마귀를 들 수 있습니다.위의 설명을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조금이나마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