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2년 12월 8일 작성 됨
Q.
마트에서 산 아보가도 열매를 집에서 심으면 열매가 열릴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잘 키우시면 열린답니다. 다만, 온도 습도 등 환경을 맞춰주고 양분도 지속적으로 줘야하기 때문에 직접 농장에서 키우는 것보다 어려우실 거랍니다.. 아마 가정에서 비슷한 크기의 아보카도를 얻긴 쉽지 않죠. 다만, 알이 작거나 꽃정도는 필수 있답니다.
화학
2022년 12월 8일 작성 됨
Q.
맨토스와 탄산 실험 원리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의 표면이 콜라 내부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멘토스를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구멍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미세한 구멍들은 콜라 속 이산화탄소가 콜라 안에서 금방 뽑혀 나오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면, 콜라를 세게 흔들어 이산화탄소와 콜라를 분리시키면 강하게 콜라가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멘토스를 넣은 경우에도 콜라가 뿜어져 나옵니다. 콜라의 탄산이 셀수록, 멘토스의 개수가 많을 수록 (어느정도 까지만) 뿜어져 나오는 콜라의 양은 증가합니다. 폭발의 강도가 다양한 이유는 탄산음료의 종류마다 표면장력이 다르기도 하고, 탄산의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화학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전기차는 화재가 나면 소방차가 출동해도 끄기 힘들다고 하던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전기차 화재 진압이 어려운 이유는 배터리 때문입니다. 전기차 배터리는 철재로 덮여 있어 소화약제가 제대로 침투하지 않습니다. 또한 진화된 이후에도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열 폭주’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완전 진압이 까다롭습니다. 열 폭주가 생기면 배터리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산소와 열이 결합해 다시 불이 날 가능성이 있습니다.이에 물을 이용해 배터리를 냉각하는 방식보다 질식소화덮개를 활용해 공기를 차단하는 것이 유용하지만 질식소화덮개 보급률은 전기차 누적 대수에 비교하면 턱없이 모자란 상황이라 소방차가 출동해도 끄기 어려운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쌍무지개 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의 무지개와 달리 밝은 무지개와 비교적 어두운 무지개로 형성된 쌍무지개는 대기 중 떠 있는 물방울을 관통하는 빛이 두 차례 굴절되면서 형성된다. 최근 잦아진 국지성 호우가 바로 이 원인입니다.국지성 호우가 발생한 지난 15·17·19일 서로 다른 지역의 대기 중 물방울이 고밀도로 자리 잡게 되면서 빛줄기가 거리를 두고 여러 차례 굴절돼 쌍무지개가 뜰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고, 무지개가 겹쳐서 보인 셈인 겁니다.
토목공학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눈이 오면 길이 미끄럽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은 물이 얼어있는 고체형태랍니다. 이것이 평평해지면, 얼음의 형태인것인데. 얼음은 마찰력이 매우 낮죠. 그래서 우리가 평소 바닥은 마찰력이 강해서 덜 미끄럽지만, 얼음은 마찰력이 낮아서 미끄러운 거랍니다.
생물·생명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단풍나무는 왜 가을에 색깔이 바뀌나는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식물들은 엽록소라는 물질에 의해서 잎색깔을 결정합니다. 보통의 식물은 광합성을 하기 위해 엽록체가 있는데 보통 그 엽록체의 색을 나타내는 엽록소의 종류가 몇가지가 있습니다..가을이 깊어지면 일조량이 작아져서 광합성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식물의 엽록소의 합성이 멈추게 됩니다. 그래서 엽록소가 쇠퇴하여 분해되어 엽록소의 색깔이 사라지고 남아있는 카로틴과 크산토필만이 남아 노랗게 보이게 됩니다..카로틴과 크산토필 역시 색소의 한 종류들이죠.. 다만 색깔이 노란색이라는 것 뿐입니다. 또한 단풍이 빨갛게 잎이 변하는 이유는 안토시안이라는 물질이 생겨나서 이 안토시안의 색깔인 붉은 색 때문에 그렇게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물 묻은 손으로 콘센트 만지면 안 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은 전기전도도가 매우 좋은 물질입니다. 그래서 물이 뭍은 손으로 전기에 손을 대면 감전의 위험이 훨씬 높아지기에 그렇답니다.
물리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한 겨울에 입김이 생기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리 입에서는 호흡을 할 떄 항상 수증기가 포함되어있습니다. 이 수증기가 겨울철에는 낮은 온도로 액체(물)이 되어 눈에 보여져 이것이 입김처럼 보이는 것이랍니다.
화학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뜨거운물이 끓은점은 불순물일때는 왜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각 물질마다 끓는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물은 100도씨이죠. 그렇기에 순수물은 100도에서 끓습니다. 그런데 어떤 A물질의 끓는점이 50도인데 이걸 물에다가 섞으면 섞인 혼합물은 100도씨보다 끓는점이 낮아지는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2월 7일 작성 됨
Q.
파리들은 겨울철에 어디에 숨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파리들은 알을 까고 겨울에는 모두 죽는답니다. 그리고 봄이 되면 까둔 알이 부화되고 구더기가 되어 다시 여름부터 성충이 되는 것이죠.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