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화학
화학 이미지
Q.  수소에너지는 어떻게 환경오염을 안시키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는 산소와 반응하여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데, 이때 물이 만들어집니다. 즉, 물밖에 나오는게 없어서 친환경에너지 인 겁니다!석유자원은 이산화탄소 등 기후오염물질이 나오게되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단풍이 피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이 되면 식물은 겨울철을 대비해서 슬슬 말단의 영양공급을 끊게됩니다. 달려있는 잎은 수분증발(증산작용)및 에너지소모를 하기때문이죠.이때 잎을 정리하며 엽록소가 줄어들며 상대적으로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들이 보이면서 잎의 색이 변하게되고 이를 단풍이라고 하는것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나침반이 방향을 가리키는 원리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를 큰 자석이라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우셔요.자석의 원리로 나침반의 N극이 북쪽을 가리키는거구요.(지구의 북쪽이 S극으로 작용 한답니다.)N극이 가리키는곳이 북극이랍니다. 그래서 나침반 옆에 자성이 있는 물체를 놓으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높이의 따라 물건을 떨어지는 속도는 똑같은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높이에서 떨어질수록 속도가 점점 늘어나게 된답니다. 이것을, 중력가속도 때문입니다. 9.8m/s 정도의 중력가속도가 붙는답니다^^ 물론 무거울수록 더 빠르게 붙을 거구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거미줄은 끈적거리는데 거미는 어떻게 잘 다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거미발은 거미줄에 잘 붙지 않도록 생겼답니다. 그래서 다른 동물은 붙더라도 거미는 잘 안붙는거에요. 가끔 붙긴 하다고 하지만, 대부분 다시 잘 돌아다니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자동차 창문에 습기 차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비가오거나 습도가 높은 날에는 차 내부에 수증기가 많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런데, 밖 온도가 낮게 되면 차 내부의 수증기가 창문에 액체로 되면서 붙게되는거죠. 그래서 습기가 차는 것입니다.여기에 에어컨을 틀면 해당 부분의 습기를 날려주고, 습도를 낮춰주기 때문에 덜 생기는 거랍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속이 텅빈 쇠공을 물에 띄우면 뜰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해당 공 안에 빈공간 부피가 얼마나 되냐 / 또 쇠구슬의 무게가 어느정도냐에 따라 뜰지 말지 달라진답니다. 고무는 애초에 무게가 작기때문에 밀도가 작아서 뜨는거랍니다.즉, 쇠구슬의 무게에 따라 뜰지 말지 달라지는데, 아마 대부분의 쇠 정도면 뜨기 어려울 거에요. 밀도가 그만큼 작지 않거든요
화학
화학 이미지
Q.  수소자동차가 움직이는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소를 연료로 하여, 엔진에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키면 물이 생성되면서 전기에너지가 만들어집니다. 이때 만들어진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의 동력으로 쓰는 것이구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비행기가 하늘을 날수 있는 원리는 무엇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비행기가 활주로에서 빠르게 달리게 되면 공기는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위쪽 면에는 빠르게 공기가 지나가고아래쪽 면은 공기가 느리게 지나갑니다. 그 과정에서 위쪽은 낮은 힘을 받고 아래쪽은 높은 힘을 받게 됩니다.​그렇게 되면 지구가 당기는 힘 (중력)보다 힘이 커지게 되면서 비행기가 뜨게 되죠​추가로 비행기의 엔진은 "터보 제트 엔진 "이라고 불리는데이 엔진이 비행기가 활주로 + 하늘에서 빠르게 날수 있게 해줍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튀김같은 기름으로 음식을 할때 물이 섞이면 물방울같은것이 튀는데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튀는거는 기름이랍니다. 뜨거운 기름의 온도는 섭씨 100도를 훨씬 넘어 200도 가까이 됩니다. 따라서 여기에 물방울을 떨어뜨리면 물이 끓는 점(섭씨 100도)을 넘는 뜨거운 곳으로 들어가는 셈이니 당연히 끓게 됩니다. 물을 많이 넣는 게 아니라 조금씩 방울방울 넣을 때는 넣는 즉시 끓어 수증기로 변하게 됩니다.그런데 아시다시피 물은 끓어서 기체로 변할 때 부피가 크게 늘어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기압 아래서는 부피가 무려 1,700배로 늘어난다고 하지요. 이렇게 부피가 늘어나면서 수증기는 그에 걸맞은 공간을 차지하려고 주위를 향해 밀어내는 힘을 가하게 됩니다. 말하자면 주변공간 전체를 밀쳐내는 것입니다.물을 끓일 때 주전자 뚜껑이 들썩거리는 것도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결국 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기름이 밀려나는 것이지요.특히 물방울이 수증기로 갑작스럽게 변하면 그 밀어내는 힘도 매우 갑작스럽게 발생하면서 기름도 급하게 밀려나 방울이 퉁기면서 사방으로 튀어오르는 것입니다. 마치 목욕탕 욕조 안의 물에 손을 천천히 넣으면 물이 튀지 않지만 손을 갑자기 확 담그면 물방울이 튀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