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겨울이 되면 해가 일찍 지고 밤이 길어지는 이유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이 바뀌는 원인은 태양 광선이 어떤 시점에 지구의 일정 지역과 만나는 각도,즉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달라져요태양과 지구의 거리에 상관없이 태양 광선을 많이 받느냐,적게 받느냐에 따라 여름과 겨울이 갈리게 되요달리 말하면, 태양 광선을 정면으로 받느냐,빚겨서 받느냐의 차이라고 할 수 있죠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라 낮의 길이가 달라지는데남중 고도가 가장 높은 여름이 낮이 가장 길고남중고도가 가장 짧은 겨울이 낮이 가장 짧아요
Q. 석유의 종류가 나뉘는 과학적 원리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석유정제란 원유를 증류하여 각종 석유제품과 반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하며 이를 정유(oil refining)라고도 부른다. 원유의 주성분은 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인 탄화수소이며 이 밖에 황, 질소, 산소 등의 화합물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탄화수소는 그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원자와 수소원자의 수나 연결되는 모양에 따라 성질이 달라져 메탄, 프로판, 벤젠 등 여러 가지 종류로 구분된다. 원유의 주성분인 탄화수소는 증류에 의해 분리시킬 수가 있다. 즉, 이 탄화수소들의 각기 끓는점이 다른 특성을 이용하여 증류공정을 통해 원유에서 휘발유, 등유, 경유 등 주요 성분을 분리하여 뽑아낸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가 자전(계속돈다는데)사람은 그걸 왜못느끼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우리가 느끼는 원심력은 원운동에서 생각을 해야하니다.그런데 463미터는 직선으로 갈 때의 속력입니다.원운동할 때의 속도, 즉 각속도를 생각해 봅시다.자전 360도를 24시간동안 도는 각속도는360÷24÷3600초 입니다.이 값은 약 0.004도가 나옵니다.즉, 우리는 1초에 0.004도를 회전하는 것입니다.10초면 0.04도 100초라고 해도 고작 0.4도 입니다.사람이 느끼기 굉장히 어려운 미묘한 각도입니다.우리가 느끼는 가속도는 직선운동에서는 속도가 변해야하지요.원운동에서는 항상 방향이 바뀌니깐 속력이 일정하더라도, 방향이 바뀌니, 가속도를 항상 느끼죠.그런데 지구의 자전은 1초에 0.004도만 방향이 바뀌니깐,사실상 직선을 초당 463미터로 등속으로달리고 있는 것과 별반다름없죠.즉 가속도를 느끼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죠.그래서. 우리몸이 지구의 자전으로 인한 가속도를 느끼지 못하는 것입니다.
Q. 우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원인, 원리에 관해)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름은 수증기, 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높은 상공에서 수증기가 물이 되고 이 물방울들이 모여 빗방울 크기가 되면 떨어집니다. 그런데 온도가 낮은 상공에서 이 빗방울이 급격히 얼게될때가 있는데, 이를 우박이라고 합니다.눈은 우박과 달리 수증기가 물이되고 작은 물 알갱이가 얼게 됩니다. 이 작은 눈 알갱이는 주변의 수증기나 물이 달라붙어 그 크기가 커져 눈이 됩니다.우박은 대기 상층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바로 아래에 있는 가운데의 따뜻한 공기가 상승할 때 생깁니다.상승한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따뜻하여 부력을 받아 더 높은곳으로 상승하게 되어구름 속의 얼음 입자가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게 됩니다.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계속 얼음에 달라 붙어 점점 커지게 되어 결국 우박으로 떨어지게 됩니다.반대로 눈은 차가우면 생성되는 것입니다.
Q.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화재를 진화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차는 화재가 주로 배터리에서 발생합니다.. 수십~수천 개의 배터리 셀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탓에 번지는 속도가 빠르고 진화가 어렵답니다. 여기에 배터리 폭발, 전해액 누출로 인한 2차 피해의 위험이 크고, 400V가량 높은 전압이 흘러 접근조차 쉽지 않다는 점.소방청말에 의하면 "고압의 전류로 인한 2차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전기차 사고 대응 매뉴얼을 준비했지만, 배터리 위치와 구조, 특성이 천차만별인데다 현장 대원의 경험이 부족하고, 최근에는 테슬라를 대상으로 관련 교육을 요청했다고 합니다.한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특성상 일반 소화제로는 불을 끌 수 없다”며 “불길을 한 번 잡더라도 화학반응이 계속될 수 있어 다시 번질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아 진화가 어렵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