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화학
화학 이미지
Q.  콜라와 멘토스가 만나면 왜 폭발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멘토스의 표면이 콜라 내부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멘토스를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구멍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미세한 구멍들은 콜라 속 이산화탄소가 콜라 안에서 금방 뽑혀 나오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면, 콜라를 세게 흔들어 이산화탄소와 콜라를 분리시키면 강하게 콜라가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멘토스를 넣은 경우에도 콜라가 뿜어져 나옵니다.  콜라의 탄산이 셀수록, 멘토스의 개수가 많을 수록 (어느정도 까지만) 뿜어져 나오는 콜라의 양은 증가합니다. 폭발의 강도가 다양했던 이유는 탄산음료의 종류마다 표면장력이 다르기도 하고, 탄산의 양도 달랐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쥬라기시대에 한반도에도 공룡이 존재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최초의 공룡 화석은 1972년 경남 하동군 수문동 해안에서 발견된 공륭 알껍데기 화석이다. 그 이후에 전남 및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공룡의 뼈, 알, 발자국 화석이 잇달아 발견되었습니다. 전라남도 해남 지역에서 발견된 익룡 발자국은 세계 최대이며, 세계에서 가장 긴 흔적입니다.  전라남도 해남군 우항리 지역에서는 세계에서 드물게 익룡, 공룡, 새 발자국이 동일한 지층에서 발견되기도 하였고, 경상남도 남해군 해안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길이 1.27㎝의 소형 육식 공룡 발자국이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은 공룡의 종류를 알수 있을 정도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여 세계 공룡 목록에 등재되기도 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박은 어떻게 만들어지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우박이 생성되는 원리는 구름 속 아주 높은 곳에서는 기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얼음이 생긴답니다. 하나의 구름 속에 높이에 따라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섞여 있는 경우가 있는데, 작은 얼음 알갱이는 구름 속의 물방울의 도움을 받아 더 큰 얼음으로 성장하게 되고 충분히 커지면 무거워서 아래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 떨어지는 얼음 알갱이가 눈이고, 떨어지다 도중에 녹으면 비가 된다. 또 내려오다가 '적란운(cumulonimbus)'과 같은 강한 상승 기류를 만나서 다시 올라가기를 반복하면 큰 얼음 덩어리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박이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새들은 어떻게 길과 방향을 찾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 연구된 결과를 사례로 말씀드리면, 독일 올덴부르크대 생물학·환경과학연구소, 물리학과, 뉴로센서연구센터, 프라이부르크 알베르트 루드비히대 물리화학연구소, 영국 옥스퍼드대 화학과, 미국 퍼듀대 의학화학·분자약리학과,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메디컬센터, 하워드 휴스 의학연구소, 중국 허베이 물리과학연구소, 허베이 첨단 자기생물학연구센터 공동연구팀은 철새 중 하나인 유럽울새를 연구한 결과 망막 속 단백질 중 하나가 생체 나침반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철새에서 자성에 민감한 생체분자의 존재를 증명한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6월 24일자에 실렸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번개가 치고 천둥 소리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소리보다 빛의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랍니다. 빛의속도는 제일 빠르기 때문에, 눈으로 먼저 보이고 그 이후에 소리가 들리시는 거에요!
물리
물리 이미지
Q.  인바디 측정기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수분이 많은 근육에는 전류가 잘 흐르고 수분이 적은 지방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원리를 이용, 인바디 기기의 금속 부분에서 인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저항값(임피던스)을 계측하여 인체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지방을 측정하는 원리랍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자판기에 멀쩡한 돈 넣어도 뱉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자판기 지폐인식기는 각 지폐를 인식하는 장치가 있답니다. 그런데, 빳빳해도 들어가는 속도 등 안맞아 인식이 안될 경우 뱉게 설정되어 있어 그렇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날씨가 추운 겨울에는 화장실을 자주가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땀배출이 적은 이유 와 더불어, 요즘처럼 급격하게 추워진 날씨에 인체의 교감신경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도 소변이 자주 마려운 이유 중 하나입니다. 이때 혈관을 수축시키는 부신 수질 호르몬 종류인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등의 호르몬이 증가되는데, 이 때문에 요도 압박과 방광내압의 증가로 이어지면서 요의를 더 자주 느껴 화장실을 자주 가게된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여름이 지나고서 해가 빨리지는데, 그 원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여름과 겨울의 낮밤과 길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할때 아래 첫번째 사진과 같이 자전축이 23.5도 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공전은 지구가 태양주변을 도는 것을 의미하고 한바퀴가 365일이고 자전은 지구가 한바퀴도는 24시간이라고 합니다.여름에는 빛이 적도 위쪽으로 겨올에는 아래쪽 들어옵니다 이것때문에 시간차이가 발생되는데 그뿐만 아니라 여름과 겨울에 우리나라에서 태양 고도 남중고도라고도 하는데 두번째 사진처럼 해가 떴다 집니다.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항상 같습니다 그리고 하루는 24시간이것도 변하지 않죠 그래서 선이 짧은 겨울이 낮이 짧고 밤이 길고 여름이 낮이 길거 밤이 짧은거죠
물리
물리 이미지
Q.  왜 딸꾹질을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경과가 양호하여 저절로 호전되는 딸꾹질은 위의 팽창(탄산음료, 공기 삼킴, 과식)과 급격한 기온 변화(더운 환경에서 찬 음료, 더운 환경에서 찬 샤워), 음주, 고양된 감정 상태(흥분, 스트레스, 웃음)로 생긴 갑니다.반면 재발하며 지속적인 딸꾹질의 원인은 100여 가지가 넘으며 심리적, 병적 등 아주 다양하답니다.급성 딸꾹질은 저절로 호전되며 딸꾹질에 대한 요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주 재발하며 지속적인 딸꾹질은 심각한 질환의 소견일 수 있으므로 담당 주치의와 상담 받아야 합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