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전문가입니다.

이중건 전문가
서울시립대
화학
화학 이미지
Q.  원자력 발전소 어떤 원리로 에너지를 생산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원자력발전의 원리는 물을 끓여서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로서 터빈을 돌려 발전을 한다는 점에서는 일반 화력발전방식과 다를 바 없다. 화력발전에서는 물을 끓이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석탄을 이용하지만 원자력발전에서는 원자로 내에서의 핵분열반응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화력발전은 석탄을 미세한 분말로 만들고 이를 보일러에서 연소시키지만, 원자력발전은 우라늄 원자에 중성자를 충돌시켜 핵분열이 일어나게 하는데 이때 핵이 분열하면서 막대한 열이 발생한다. 핵연료봉에 저장된 핵연료의 분열이 일어나면서 연료봉은 뜨거워지고 이 주위로 물을 흐르게하여 뜨거운 증기를 만들어낸다. 이 증기는 터빈을 구동하여 발전기가 돌아가게 하는 원리이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사람의 몸온도는 36.5도로 어떻게 유지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미국 아인슈타인의대 아르투로 카사데발 교수는 사람의 체온이 균을 막으면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구간에 속한다고 미국 미생물학회가 발간하는 ‘엠비오(mBio)’ 저널 2010년 11월호에 발표됐습니다.카사데발 교수는 체온과 질량이 물질대사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의 증가에 따라 세균이 감소하는 비율을 기준으로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 방정식을 분석해 사람이 사용하는 에너지와 세균을 막는데 필요한 온도 사이에서 최적 범위를 찾았고,적합한 온도는 35.9도에서 37.7도 사이로 나타났습니다. 이 범위는 세균의 감염을 막으면서 사람이 체온을 유지할 때 사용하는 에너지가 가장 효율적으로 쓰이는 구간이었습니다.우리 몸은 그래서 세포들이 열을 내며 항상 36도 언저리를 유지하려게 진화된거랍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노이즈캔슬링의 원리와 부작용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아주 효과적으로 외부 소음을 제거하는데 헤드폰 안에 감춰진 마이크가 주변의 소리를 듣고 이를 서로 다른 음파 즉, 파형이 정반대인 음파로 변형해 사용자의 귀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 두 음파가 서로를 상쇄시키는 과정을 '상쇄 간섭'이라고 한고, 상쇄 간섭을 통해 헤드폰에서 나오는 음파가 아주 효과적인 소음 제거의 역할을 맡아 결국 헤드폰 바깥의 소음을 다른 방식의 소음을 내서 없애는 것처럼 착각시키는 것이랍니다.부작용은 크게 없습니다! 아마 막혀있다가 외부 소음이 들려 멍 하다고 느끼실 수 있습니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포유류는 쌍둥이가 있는데 조류도 쌍둥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조류도 쌍둥이가 발생한답니다. 1개의 알에서 두 마리가 태어나는 경우이고, 몇 사례가 존재한답니다.그런데, 그렇게 태어난 조류들은 오래 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옷에 락스가 닿으면 어떤성분 어떤원리로 왜 탈색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락스가 표백제로 작용하게 하는 유효성분은 차아염소산나트륨입니다. 차아염소산나트륨은 화학식 NaClO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수용액으로 표백, 세척, 탈취, 살균작용이 있습니다. 이러한 작용은 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산화제'로서의 성질에 기인합니다. 다른 물질을 산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어 화학반응에 의해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살균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환절기 온도차 알러지 비염은 어떻게 올라오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알레르기 비염은 급격한 온도 변화 등의 자극에 의해서도 증상이 유발될 수 있고, 기온 차가 큰 환절기에는 호흡기도 예민해지기 때문에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또한 환절기에 유행하는 감기도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더 주의해야 한다.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으로는 연속적이며 발작적인 재채기, 계속 흘러내리는 맑은 콧물, 눈이나 코 주위의 가려움증, 코막힘 등이 있다. 이외에도 눈, 입천장, 목 안이 가렵거나 아플 수 있으며, 눈물이 나거나, 두통이 있을 수 있다. 냄새를 맡지 못하거나 코피가 날 수도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환절기에 심해지며, 특히나 아침 또는 저녁에 심해진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물 밖에서 물속에 있는 사람에게 권총을 쐈을 때 총알이 도달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중에서 보다는 물에서 권총의 유효사거리가 짧아지는 건 맞습니다. 하지만, 권총의 종류마다 어느정도 인지는 달라지기 때문에 유효사거리가 닿는다면 물속에서도 총성은 가능하답니다! 하지만, 공기중보다 짧아져서 어려울 수도 있죠.
화학
화학 이미지
Q.  알루미늄은 몇도씨 이상올라가면 녹나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알루미늄(Al)의 녹는점은 660.32℃정도 랍니다. 즉, 이 이상의 온도가 접촉되면 그때부터 녹게 됩니다! 일반 우리가 사용하는 불로는 녹이기 어렵겠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금껏 가장 강한 태풍의 풍속은 얼마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계 역사상(기록상) 가장 큰 태풍은 1979년에 발생한 TIP 태풍입니다.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중심기압이 870헥토파스칼로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입혔던 매미 보다 약 80헥토파스칼정도가 낮은 태풍입니다. (중심기압이 낮을수록 강력하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가을하늘이 높고 푸른 과학적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가을하늘이 유독 높아 보이는 것은 공기 중에 먼지가 적어서 낮은 고도에서 빛의 산란이 적기 때문이랍니다. 빛의 산란으로 인해 우리는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인데요, 산란이 적게 되면서 하늘이 좀더 높게 느껴지는 거랍니다!
565758596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