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육아 전문가입니다.
이중원 전문가
아이사랑 아동상담 전문센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여름에 아기 내복 어떤거 입히나요 ? 나시? 5부? 7부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에어컨을 틀 경우 얇은 7부나 긴팔을 입히면 좋고 에어컨없이 선풍기만 틀 경우 소매없는 내복이 좋습니다. 여름용으로는 소매없는 얇은 내의와. 얇은 7부 내의 같이 에어컨에 대비해서 준비해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9개월 된 아이 아직 치아가 안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유치는 모두 20개로, 생후 6개월부터 나기 시작하여 보통 생후 30개월경 되면 다 나오게 됩니다. 아이의 정상적인 유치 개수는 월령에서 6을 빼면 알 수 있습니다. 즉 12개월 된 아기는 대략 6개의 유치가 나 있으면 정상입니다.그러나 치아가 나오는 시기는 아기들 마다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아기는 태어날 때부터 이미 이가 나와 있는 경우도 있고, 또 어떤 아기는 돌이 되어서야 첫 유치가 나기도 합니다. 치아가 늦게 난다고 해서 이기의 신체 성장이 느린 것은 아닙니다. 치와 발달 시기와 아기의 신체 성장과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가족력인 경우도 있으므로, 부모님이나 형제자매가 치아가 늦게 나오지는 않았는지 살펴봐야 합니다. 거의 대부분은 특별한 문제없이 다만 치아가 조금 늦게 나는 것일 뿐이므로 일단은 너무 걱정 마시고 지켜보셔도 되겠습니다. 그렇더라도 너무 늦게 나오면 잇몸이 치아를 압박하고 있는 건 아닌지 치과 진료도 한 번 받아 보는 게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주변정리가 안되는 아이 훈육하는 법 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이 어질러진 물건을 대신 정리해 주기 시작하면 평생 아이는 스스로 정리하지 못하며 부모가 대신해 주게 되고 큰 소리가 나게 됩니다. 아이들에게 정리하는 방법을 가르치셔야 합니다. 처음에는 아이들과 함께 정리를 하면서 정리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신 후 나머지 부분은 스스로 하게 합니다. 그리고 매일 정리하는 시간으로 정해두고 정리하는 습관이 들때 까지 함께 하셔야 합니다. 정리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아주 쉬운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자기가 마신 컵을 싱크대에 갖다두는 아주 작은 일부터 시작합니다. 아이가 책을 어질러 놓았으면 "책 다 읽었니? 오늘은 그만 읽을 거니?" 하고 물은 뒤, 그렇다고 대답하면 "이제 책을 꽂아놓자. 그래야 다음에도 찾기 좋으니까. 엄마 하나씩 줄래?" 하면서 부모가 정리하는 것을 돕게합니다.혹은 "이만큼은 네가 꽂아" 하며 정리할 몫을 줄 수도 있습니다.하루 일정시간을 정해 아이들이 스스로 치울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출처] 장난감 안 치우는 아이, 정리정돈 습관 기르는 법
양육·훈육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자녀에 대한 스킨십 어느정도까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성장하게 되면서 과한 스킨십을 거부하게 됩니다. 이때 아이가 원하지 않으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는 부모에게 성숙된 인격체로 존중받기를 원합니다. 그런데 과한 스킨십을 하다보면 어린 아이처럼 취급당하는 느낌을 받게 되어 아이들은 싫어합니다. 내 아이가 성장하고 성숙했으므로 부모도 이뻐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방법이 달라지셔야 합니다. 머리를 쓰다듬거나 주먹과 주먹을 툭 하고 치면서 칭찬하는 정도는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것도 아이가 싫어하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춘기에 접어들기 시작하는 5학년 자녀에게는 스킨십보다 대화로서 인정해주고 칭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5월 22일 작성 됨
Q.
초등학생아이의 요구를 무작정 들어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또래에 비해 뒤처진다고 하는 요구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으나 아이가 원하는대로 다 들어주는 것은 잘못된 교육법입니다. 하고 싶어도 참을 수 있는 능력이 바로 자제력입니다. 아이가 요구하는 바가 있으며 부모의 교육관에 따라 아이와 대화를 통해서 협의한 후 들어주어야할 것과 들어주지 못하는 것을 구분하여야 합니다. 가족회의를 통해 결정하면 좋습니다. 아이도 자신이 요구하는 바를 관철하기 위해 타당한 이유를 제시하는 토론 능력이 길러질 수 도 있고 아이의 반항 없이 요구사항에 대해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좋습니다.
311
312
313
314
3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