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
이현주 전문가
비엔나음악학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음악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옛날노래가 요즘노래보다 좋은것같은데 저만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음. 개인개인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많은 분들이 말씀하신것 처럼 90년대 후반이나 2000년대에 나온 노래가 훨씬부르기도 쉽기도 하고 혹은 가사가 와 닿는 부분들이 많이 있는것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요즘에 나오는 노래들도 가사를 자세하게 보면 정말 괜찮은것들이 많이 있는데그것을 전달하는 작곡이나 리듬같은경우가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 가사 전달이 안되는경우가 있으며그렇다 보니 그전에 나왔던 노래들이 훨씬더 감성적이고 서정적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이 생기는것 같습니다.
음악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한국의 아마츄어 음악 민간단체와 일본이나 중국의 단체를 연결해서 교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니지먼트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현재 아마추어에서는 음악적 민간단체가 일본이나 중국을 메니지먼트 하는 회사를 찾기는 어려울겁니다.혹시 모르니 '한국 국제 문화 교류 진흥원'에 연락을 해보시거나 혹은각 나라의 대사관에 연결을 해서 알아 보시는것이 더 좋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음악
2025년 2월 16일 작성 됨
Q.
겨울철에 실외에서 현악기 연주할 때 조심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기본적으로 겨울 같은 경우는 실내와 실외 온도차이가 크기 때문에 악기가 그 온도에 잘 적응을 할수 있게 되도록이면서서히 노출을 시켜서 현악기가 적응을 할수 있게 해야 합니다.그렇지 않으면 크랙이 발생할수 있고 음의 변화도 크기 때문에 서서히 노출을 시키는것이 좋습니다.
음악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음악 프로듀서는 어떤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로 할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선은 음악 프로듀서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음악학과를 나오지 않아도 가능은 하지만 실용음악학교를 나오는것이 가장편하고 좋습니다.물론 개인의 능력으로 프로듀서가 될수는 있지만 따로 개인적인 훈련을 해야 하기 때문에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리고 음악만 잘하는것이 아니라 기계도 다뤄야 하기 때문에 편곡에 필요한 컴퓨터 활용도 어느정도는 익숙해야 합니다.
음악
2025년 2월 15일 작성 됨
Q.
음악 프로듀서가 되려면 어떤 기술과 경험이 있으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현주 전문가입니다.우선은 음악 프로듀서가 되려면 작곡이나 편곡 같은 음악적인 감각이 어느정도는 있어야프로듀서가 될수 있는 그래도 자격?이 생깁니다.그래야 여러가지 워크스테이션 같은것도 그리고 사운드 편집 , 믹싱 등등을 잘 할수 있는능력이 생깁니다. 그런것을 바탕으로 해서 프로듀서를 할수가 있는거구요.요즘에는 학원에서도 많이 가르쳐 주기도 하고 악기는 개인적인 악기에 맞는 학원 등록이 좋을것 같습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